임재관 newsmedical@daum.net
1월 1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가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확진자 발생이 감소됐지만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규모가 유지 중인 상황을 고려했다.
(표)1월 1주차 종합평가 결과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확보 병상수에 따라 소폭 변동했지만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9% 증가해 일평균 597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2.9% 감소해 일평균 57명이다.
▲중증화율 0.15%, 치명률 0.07%
1월 1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535명(89.6%),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4명(94.7%)이었다.
12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5%, 치명률은 0.07%이었다.
▲코로나19 누적 사망률 63.0명
2022년 1월 7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3.0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21.1명(치명률 1.9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98.9명(치명률 0.46%), 60대는 51.6명(치명률 0.12%)이었다.
(표)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확진자 및 발생추이
1월 1주(1.1.~1.7.) 주간 신규 확진자는 41만 4,673명으로 전주 대비 9.6% 감소했다.
▲감염재생산지수 0.95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5만 9,239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95로 12주 만에 1미만으로 감소했다.
▲발생률…30-39세>80세 이상 순
전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했다.
발생률은 30-39세(135.1명), 80세 이상(134.0명), 20-29세(128.5명) 순으로 젊은 연령층 및 노년층에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는 감소했지만 비중은 증가했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12월 4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3.7%(1만 6,544명/44만 9,592명)로 전주 대비 0.1%p 감소했다.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8.4%(6,351명/1만 6,544명), 요양시설 36.9%(6,110명/1만 6,544명), 주야간보호센터 12.8%(2,111명/1만 6,544명) 순이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