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이 7월 2일 제1차 ‘병원체자원관리종합계획’(2021~2025) 및 2021년 시행계획을 수립·공포했다.
◆병원체자원 관리 전반 종합계획 부재
병원체자원 책임기관인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보존가치가 있는 병원체를 수집하여 ‘병원체자원 보존·관리 목록’에 등재·공개하고 연구자 및 보건의료 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분양하고 있다.
2017년 제정된 ‘병원체자원법’에는 5년마다 병원체자원관리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공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그동안 병원체자원 관리 전반에 대한 종합계획은 부재한 상황이었다.
◆제1차 종합계획 주요 내용
이번 제1차 종합계획에는 병원체자원의 수집, 관리 및 분양 활용에 관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이 3개 중점전략 및 7개 전략별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용 병원체자원 확보 및 안정적 보존관리 역량 제고
이를 위해 △병원체자원의 질적, 양적, 전략적 수집 확대, △병원체자원의 유용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 보존·관리체계 정립, ③ 병원체자원 관리기반 제도를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병원체자원 유용가치 제고 및 분양·활용 촉진 전략
△병원체자원의 고부가가치화, △유용 병원체자원 분양·활용 촉진을 위한 기반 강화를 위한 추진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내외 병원체자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국제적 병원체자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소통 및 참여를 통한 병원체자원 국내 연계・협력 강화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1년 시행계획…7월부터 연말까지 진행
종합계획 이행을 위한 2021년 시행계획은 7월부터 연말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수요맞춤형 자원 우선 확보, 병원체자원 기탁 활성화 및 자원 품질 신뢰성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권준욱 원장은 “이번 종합계획은 생물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 공유에 관한 국제적 협의(나고야의정서) 발효 이후, 국내 병원체자원에 대한 주권 강화 및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촉진을 위하여 마련했다”며, “병원체자원 수집 관리 및 분양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 시행으로 향후 신·변종 및 해외 유입 감염병에 대한 진단제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원천물질 제공 활성화와 병원체자원에 대한 주권 확보가 가능해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