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심장혈관이 거의 막힌 경우 스텐트를 혈관 내에 삽입해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관상동맥의 협착이 50~70%정도 막힌 경우 반드시 스텐트를 삽입하는 게 최선의 치료법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이런 가운데 약물치료로도 호전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양대병원 심장내과 배장호 교수가 건양의대 김태원, 이가형 학생과 함께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건양대병원 심장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중간단계의 관상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와 비스텐트 시술 환자 즉 약물치료 환자의 예후를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두 그룹 간 주요 심혈관 사건(MACE)에 의한 재시술을 하는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게 밝혀졌다.
굳이 스텐트 시술을 받지 않고도 약물복용 등 적절한 치료를 유지하면 중간단계의 관상동맥 협착증의 경우 스텐트 시술을 시행한 환자와 같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스텐트 시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아스피린이나 클로피도그렐과 같은 독한 약을 감량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출혈성 부작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익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배장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심장 혈관이 완전히 협착되지 않은 환자에게 반드시 스텐트 시술을 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스텐트 시술을 통한 또 다른 부작용과 과용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심혈관 분야 SCI급 저널인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에 게재됐다.
한편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은 심장혈관에 노폐물이 쌓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병으로, 완전히 막힐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