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보건복지부가 2026년부터 56세와 66세 국민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국가건강검진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회장 안중현, 이사장 유광하)가 지난 24일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검사 항목 추가를 넘어 고령화와 환경 문제로 심화되는 호흡기질환 관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나라로 꼽히면서 호흡기 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 COPD 환자 96% 진단·치료 사각지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흡연과 미세먼지 등으로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 사망률 3위의 중증 호흡기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비전염성 5대 질환으로 지정했다.
국내 40세 이상 유병률은 12.7%로 약 359만 명이 COPD 환자로 추정되지만, 이 중 단 4%만이 의료기관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단순한 기침, 가래 정도로만 나타나 많은 사람이 질환으로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조기 진단 어려워 사망 위험 높아
COPD는 폐 기능이 50% 이상 손상되기 전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초기 진단이 어렵다.
한번 손상된 폐는 다시 회복되지 않아 제때 관리하지 않으면 폐가 서서히 망가져 자가 호흡이 불가능해지고 결국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호흡곤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이 갑자기 심해져 일상적인 증상의 변화 범위를 넘어서는 ‘급성 악화’가 발생하면 3.3년 내 사망률이 50%이다.
만성적 호흡곤란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 폐암 등 다양한 합병증까지 발생해 사망 위험을 더욱 높인다.
◆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 주목
이번 폐기능검사 국가건강검진 도입은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넘어 국가 전체의 사회경제적 부담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2017) 추산에 의하면 COPD로 인한 연간 사회경제적 비용은 약 1조 4,000억원이다.
COPD 환자 1인당 사회경제적 비용은 747만원으로 허혈성 심질환(256만원), 당뇨병(137만원), 고혈압(73만원), 고지혈증(32만원) 등 다른 만성 질환 대비 월등히 높다. 고혈압의 10배, 당뇨병의 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폐활량을 측정하는 폐기능검사는 COPD 진단을 위한 가장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검사 방법으로 짧게는 5분, 길어도 1시간 내에 가능하다.
국가건강검진에서 매년 56세와 66세를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수행할 경우 연간 약 117억원의 재정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1조원이 넘는 COPD 연간 사회경제적 비용을 고려할 때 충분히 비용 효과적인 투자라 할 수 있다.
◆ “검진-치료 연계 시스템 구축에 기여”
유광하 이사장(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은 “정부의 이번 폐기능검사 국가건강검진 도입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며 “폐기능검사의 국가건강검진 도입은 국민 건강 증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하며, 학회는 폐기능검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정부 및 유관 단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확한 폐기능검사 검진 수행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질 관리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학회는 폐기능검사를 통해 진단된 환자들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검진-치료 연계 시스템 구축에도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이은주 대변인(고려대 안암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은 “고령화와 대기 오염으로 인해 앞으로 중증 호흡기 질환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조기 진단 체계를 마련해 어르신의 ‘숨 쉴 권리’를 보장하고 건강한 고령사회를 만드는 데 학회와 정부가 함께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