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한국 의료관광, 2024년 117만 외국인 환자 유치…아시아 중심국가 도약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피부과·성형외과 중심 의료관광 생태계 구축 가시화 2025-04-03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지난 2024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 명으로 2023년 61만 명 대비 약 2배(93.2%) 증가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에 따르면 외국인 환자 유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연평균 23.5%)하였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2만 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3년간의 회복 단계를 거쳐 2023년 61만 명, 2024년 117만 명까지 증가했다. 


이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9년 이래 역대 최대 실적으로,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5만 명이됐다.

◆ 국적별 현황: 일본·중국, 전체의 60% 차지

2024년 한 해 동안 202개국의 외국인 환자가 한국을 방문했으며, 국가별로는 일본·중국·미국·대만·태국 순으로 집계됐다. 


일본·중국이 전체 외국인 환자의 60.0%(70.2만 명)를 차지했으며, 미국 8.7%(10.2만 명), 대만 7.1%(8.3만 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대만(550.6%), 일본(135.0%), 중국(132.4%) 순으로 환자 수가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피부과를 방문한 환자의 수가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피부과 환자는 대만이 6.7만 명(1017.0% 증가), 중국이 17.2만 명(278.8% 증가), 일본이 30.8만 명(155.2% 증가)을 기록했다.


권역별로는 동아시아의 방문 비중이 69.3%(81만 명)로 가장 높았으며, 미주 10.0%(11.7만 명), 동남아시아 9.6%(11.2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 한방통합과 내과통합도 증가세

일본은 작년에 이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은 2023년 대비 132.4% 증가한 26.1만 명이 방문했다. 


대만은 전년 대비 550.6%로 가장 높게 증가하여 작년 9위에서 올해 4위로 상승했다.

일본은 피부과(69.7%)·성형외과(14.0%)의 비중이 여전히 높지만 피부과(155.2%) 다음으로 한방통합(150.9%)과 내과통합(102.6%)의 증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 진료과별 현황: 피부과와 성형외과 중심

피부과 진료가 70.5만 명으로 전체 진료과목 중 5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하여 피부과(194.9%), 한방통합(84.6%), 내과통합(36.4%) 순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 산업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국가 19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외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수준의 호감도가 한국의 피부과와 성형외과 방문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의료기관 및 지역별 현황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을 가장 많이 방문(82.0%)했으며, 종합병원(6.0%), 상급종합병원(5.1%) 순으로 이용했다. 


의원을 이용한 환자는 전년 대비 138.4%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한의원(113.2%), 치과병원(24.7%)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전년 대비 각각 14.4%, 7.6%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외국인 환자의 85.4%인 100만 명을 유치했으며, 경기(4.4%), 부산(2.6%), 제주(1.9%), 인천(1.8%) 순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제주(221.0%), 부산(133.6%), 충북(116.1%)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5월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을 통해 2027년 달성 목표였던 70만 명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려는 정부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의료'와 '관광'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확대와 현장 체감형 법·제도 정비를 지속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외국인 환자 유치로 인한 국민의 의료 공급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도 병행해 나아갈 계획”임을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