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WHO, 미국 ‘애벗 몰러큘’ 개발 엠폭스 진단법 첫 긴급 승인 긴급사용목록(EUL) 절차에 따라 2024-10-05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세계보건기구(WHO)가 처음으로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체외 진단 테스트를 긴급사용목록(EUL) 절차에 따라 4일(현지시간) 승인했다.


이 검사법은 미국 바이오기업인 애벗 몰러큘이 개발한 것으로, WHO가 엠폭스 진단 테스트를 긴급 승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사용이 승인된 검사법은 엠폭스 의심 환자의 피부 물집에 접촉한 면봉을 실시간 유전자 증폭 기술(PCR)로 검사해 바이러스를 가려내는 방식이다.


WHO에 따르면 이 검사법은 숙련된 의료 종사자가 검사하도록 설계됐고,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WHO의 이번 승인은 발병 의심 사례가 급증하는데도 진단 역량과 자원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감염 의심자를 제때 진단 못하면 더 많은 의심 사례를 확산시키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WHO에 따르면 올해 엠폭스 환자가 가장 많이 나온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우 의심 사례의 37%만 진단 테스트를 받았다. 


아프리카에서 올해 들어 최근까지 보고된 엠폭스 의심 사례는 3만건 이상이다.


WHO 의약품 접근성 담당 나카타니 유키코 부국장은 “이번 첫 EUL 등재는 진단 테스트의 가용성을 확대하는 중요한 이정표이다. 품질이 보증된 의료 제품·서비스에 대해 접근성을 확대하는 건 바이러스 확산을 막을 핵심 수단 중 하나이다.”라고 설명했다.


WHO는 진단 테스트와 진단 기기 등에 대한 긴급 승인을 더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진단 기기 제조사들이 WHO의 승인을 받은 제품을 발병 지역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논의 중이다.


한편 EUL은 보건 대처가 긴급한 상황에서 아직 사용 허가를 받지 못한 의약품이나 진단기기 등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코로나19 유행 당시 백신과 진단기기 등이 EUL 절차를 거쳐 승인받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