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산후조리원 내 코로나19 감염자수, 2020년 대비 23배 폭증…방역 위험 산모·신생아·종사자 건강 ‘빨간불’ 2022-09-18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산후조리원 내 코로나19 감염자수가 2020년 대비 23배 폭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원이(더불어민주당, 목포시)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산후조리원 내 감염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총 2,045명의 산후조리원 내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자

연도별 발생 인원은▲2018년 510명 ▲2019년 352명 ▲2020년 201명 ▲2021년 202명 ▲2022년 상반기 780명이다.

올해는 상반기임에도 코로나19 오미크로 확산으로 인해 산후조리원 내 감염 발생이 작년(2021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인원별로는 감염에 취약한 신생아가 전체 인원 중 57%(1,165명)를 차지했으며, 산모 24%(498명), 직원 등 기타 19%(383명) 순이었다.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해 산후조리원 내 총 847명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 30명이었던 코로나19 감염자는 2021년 124명, 2022년 상반기에는 693명으로 2020년보다 23배나 폭증했다. 

코로나19 감염은 직원 등 기타가 35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산모 304명, 신생아 184명이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제외한 감염자 수

코로나19 감염을 제외한 감염자 수는 총 1,198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510명, 2019년 352명, 2020년 171명, 2021년 78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2022년 상반기에 87명으로 증가했다.

(표)최근 5년간 산후조리원 내 감염 현황

◆올 상반기 질환별 감염 현황…호흡기계 질환>장관계질환>기타질환 순 

올 상반기 질환별 감염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호흡기계 질환‘이 7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장관계질환‘ 13명, ’기타질환‘ 9명 순이었다. 

호흡계질환은 ’코로나19‘ 감염이 693명이었다. 그 외 ’RS바이러스감염‘ 49명, ’감기‘ 1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중 RS바이러스 경우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계열 질환이며,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고, 한 번 감염되면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이 이뤄진다. 

성인인 경우 가벼운 감기지만, 신생아의 경우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표)최근 5년 간 산후조리원 내 감염 현황

김원이 의원은 ”코로나19는 전 세계에 전례 없는 감염병으로 현재까지도 확산이 진행되고 있으며, 산후조리원도 피해갈 수 없었을 것이다“며, ”산후조리원 내 감염은 산모 및 신생아, 종사자의 생명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만큼 코로나19의 방역을 비롯한 위생준수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에 신경을 써야한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