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량광형광분석 검사를 통한 초기 치주질환 평가법 개발
경희대치과병원 오송희 최진영 김성훈 교수팀
2021-09-08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정량광형광분석 검사를 통한 초기 치주질환 평가법이 개발됐다.
경희대치과병원 오송희(영상치의학과), 최진영(교정과), 김성훈(교정과, 교신저자) 교수팀은 경희대치과병원 내원 환자 23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구강건강습관 설문조사, 정량광형광검사(QLF), 방사선 검사 결과를 종합해 초기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정량광형광분석 검사는 기존의 치면 착색제를 이용한 단순비교 방식에 비해 치태 침착의 두께와 심도를 측정할 수 있고, 5단계의 형광치태지수(Fluorescent Plaque Indes, FPI)로 분류가 가능한 검사방법이다.
초기 치주질환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치주질환의 표지자 중 치태 침착의 정도를 이용했다.
오송희(치과종합검진센터 부센터장)교수는 “구강위생점수와 형광치태지수(FPI)에 관한 연구로 초기 치주질환과 치태 침착의 과학적 분석 및 객관화된 검진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구강건강습관 및 치주질환 예방의 필요성을 환기시켜 향후 치조골 소실과 치아상실은 물론 전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중증 치주질환 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Sensors’에 ‘정량광형광분석검사를 활용한 치태지수와 구강건강습관점수 및 방사선학적 치조골 소실 점수를 비교한 치주질환 위험 인자 평가’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