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2020년 긴급복지 완화기준, 2021년 3월 31일까지 적용기한 연장 재산 및 금융재산 완화기준 지속 적용 등 2021-01-04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실직, 휴·폐업 등으로 생활이 어려워진 저소득가구에 2021년 3월까지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긴급복지를 지원한다.
이는 지난 2020년 12월 29일에 발표된 ‘코로나19 맞춤형 피해지원 대책’의 일환으로 긴급복지가 저소득계층을 보호하는 최후의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고려한 조치이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0년말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인해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저소득 위기가구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2020년 3월부터 12월말까지 실시했던 한시적 긴급복지 완화기준을 2021년 3월 31일(수)까지 계속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완화기준과 세부적인 내용은?
이번 조치에 따라 적용되는 완화기준과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용기한 연장
당초 2020년말에 종료하기로 예정되었던 적용기한을 2021년 3월 31일(수)까지로 연장했다.
▲재산기준
재산 심사 시 실거주재산을 고려하여 2020년에 신설한 재산 차감 기준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대도시는 3억 5,000만 원, 중소도시는 2억 원, 농어촌은 1억 7,000만 원 이하가 되면 재산기준을 충족하게 된다.

금융재산기준
금융재산 산정 시 생활준비금(금융조회기준일부터 신청일이 속하는 달까지 약 3개월 소요되는 점을 고려, 그간 일상생활 유지를 위해 소요되었을 것으로 인정하여 차감해주는 비용)의 완화된 공제비율(기준 중위소득의 150%)을 지속 적용한다.
이에 따라 예금, 적금, 주식 등의 금융재산이 1인가구는 774만 원, 4인가구는 1,231만 원, 7인가구는 1,624만 원 이하가 되면 금융재산기준을 충족하게 된다.
또 사회통념상 지출이 불가피하거나 생계유지에 필수적인 비용, 장기간 압류되어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등에도 증빙이 가능한 경우에 금융재산에서 차감한다.
▲지원기간 제한 완화
동일한 위기사유 및 동일한 상병인 경우에는 2년 이내에 재지원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제한기간을 완화하여 3개월이 경과하면 재지원이 가능하다.


◆소요 예산 약 920억 원
이번 조치로 인해 소요되는 예산은 약 920억 원이다.
이미 확보된 2021년 긴급복지 예산(1,856억 원)을 우선 집행하고, 추후에 부족예산은 목적예비비 등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자 결정시 생계·의료비 등 지원 가능
실직, 휴·폐업, 질병·부상 등 위기상황으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129)를 통해 상담 및 신청할 수 있다. 
시군구의 상담 및 현장 확인을 거쳐 소득·재산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로 결정될 경우 생계·의료비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긴급복지지원제도…최후의 사회안전망
긴급복지지원제도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처하여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가구에 한시적으로 지원되는 최후의 사회안전망이다. 생계급여, 실업급여,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다른 법률에 의해 현재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