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금 newsmedical@daum.net
최근 3년간(2017~2019년) 장염비브리오(원인균 : Vibrio parahaemolyticus) 전체 환자(597명)의 78%가 여름철(8~9월)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3년(2017~2019년) 월별 장염비브리오 발생 건수 및 환자 현황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에 따르면 장염비브리오는 바닷물에서 생존하는 식중독균으로 주요 발생지는 음식점이며,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고 구토, 복통 및 설사 등의 증상을 보였다.
식약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을 피하고 건강한 여름을 나기 위해서는 수산물 구매·보관·조리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식약처 식품소비안전국 식중독예방과는 “여름 휴가철 식중독 예방을 위해 국민 개개인은 ‘손 씻기, 음식은 익혀먹기, 물은 끓여먹기, 식재료·주방기구는 세척·소독하기, 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보관온도 준수하기(냉장 5℃이하, 냉동 –18℃이하)’ 등 6가지 실천 수칙을 항상 준수하고, 피서객들이 자주 이용하는 바닷가 주변 음식점에서는 어패류의 세척, 보관, 조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한편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재료 보관 : 신선한 어패류를 구매하여 신속히 냉장보관(5℃ 이하)
▲조리하는 사람 :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를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철저하게 손 씻기
▲조리 도구 : 칼과 도마는 전처리용과 횟감용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이미 사용한 도구는 세척 후 열탕 처리하여 2차 오염 방지
▲재료 준비 : 어패류를 수돗물로 2~3회 깨끗이 씻기
▲조리 시 : 냉동 어패류는 냉장고 등에서 안전하게 해동 후 흐르는 수돗물로 잘 씻고, 속까지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가열‧조리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