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최근 5년간 성조숙증 환자 42% 급증…여아 8.27배 많아 남 : 10세 이상, 여 : 10세 미만이 더 많아 2019-09-20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최근 5년간 성조숙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 수가 급증했으며, 여아가 8.27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바른미래당 간사)의원이 공개한 성조숙증 환자 현황에 따르면 2014년 7만 2,246명이었던 환자 수는 2018년 10만 2,886명으로 2014년 대비 42.41%나 증가했다. 2019년에는 상반기에만 7만 4,999명이 성조숙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8년의 경우 성조숙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남아가 1만 1,099명, 여아는 9만 1,787명으로 여아가 8.27배 많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10세 미만이 4,324명, 10세 이상은 7,385명으로 10세 이상 환자가 더 많았지만, 여아의 경우 10세 미만은 6만 9,550명, 10세 이상은 3만 2,291명으로 10세 미만 환자가 월등이 더 많았다.


(표)최근 5년간 성조숙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 수(남녀·연령별)

최도자 의원은 “최근 5년간 성조숙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며,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충분히 가능한 만큼, 정기검사 등을 통해 성조숙증 예방과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조숙증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져 이차성징이 빠르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소아비만, 환경호르몬,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등의 영향요인으로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