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립중앙의료원 중앙 난임·우울증상담센터, 이용자 만족도 98% 1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2019-07-01
김지원 newsmedical@daum.net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 중앙 난임·우울증상담센터(센터장 최안나)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98%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안나 센터장은 지난 6월 26일 이 의료원 연구동 9층 대강당에서 개최한 중앙 난임·우울증상담센터 1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중앙 난임·우울증상담센터 경과보고’를 통해 지난 1년 간 전체 센터의 상담 건수(총 7,381건) 중 중앙센터는 총 2,858건의 상담을 진행했으며, 센터를 이용한 대상자의 만족도가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난임·우울증상담센터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개최한 이번 심포지엄에는 난임 부부 및 임산부의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일반대상자 등 총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어서 ▲정유숙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임신은 모성에게 신체적, 정신‧심리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기 때문에 엄마의 스트레스나 우울증이 아이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임산부와 산후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춘선(한국난임가족연합회) 회장은 ‘난임 부부의 정서적 어려움’이라는 주제로, 난임 시술을 진행하는 부부들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상황 및 정서를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용적 난임 통합관리 지원체계에 대해 발표했다.

▲한정열(국립중앙의료원 산부인과, 한국모자보건학회 회장)전문의는 ‘난임 및 임산부 상담사업의 중요성’에서 난임 부부 및 임산부들을 위한 상담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연구를 통해 난임·우울증상담사업의 필요성을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손문금 과장은 지정토론을 통해 “난임 환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정부차원의 상담인력 안정 화, 인프라 구축 및 확대 운영, 질 관리 노력을 위한 예산, 지침 등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센터장은 “중앙 난임‧우울증상담센터는 향후 추진 과제에 대해 난임‧임산부 정신건강 전문가 양성 체계 확립과 대상자별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상담 접근성 강화, 가임기 여성 건강 관련 연구 및 정책 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