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한국MSD(대표이사 아비 벤쇼산) 가다실9를 통해 국내 여성들의 자궁경부암 예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3월 27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HPV 예방관리, 다시 한 번 깨어나다’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인 대상 9가 사람유두종바이러스(이하 HPV) 백신 관련 연구 결과 소개(김영탁 교수, 서울아산병원)와 △전세계 HPV 백신 접종 현황 및 향후 과제(곤잘로 페레즈 박사, MSD 글로벌 메디컬 디렉터)에 대한 발표를 통해 이같은 기대감이 높아졌다.
◆한국 여성 HPV 52형, 58형 감염률, 타 국가 대비 높아
서울아산병원 김영탁 교수는 지난 1월 국제인유두종바이러스협회(International Papillomavirus Society, IPVS) 인유두종 리서치(Papillomavirus Research) 저널의 ‘한국인 대상 HPV의 질환 부담과 유형별 빈도 조사’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한국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HPV 52형, 58형의 감염률이 각각 2.3%, 0.9%로 다른 국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국내 자궁경부암에서 HPV 백신의 잠재적인 영향을 보았을 때 HPV 16형, 18형의 기여도가 74%였고, HPV 16형,18형을 비롯해 HPV 31형, 33형, 45형, 52형, 58형 감염을 포함한 기여도를 예측했을 때에는 약 92%까지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김영탁 교수는 지난해 5월 미국 감염학회지(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된 가다실9 임상 후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추적연구 결과도 소개했다.
가다실9 임상 참여자 중 아시아인 1,717명(한국인 307명)을 약 4.5년간 추적해 가다실9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해 본 결과, 가다실9 접종군에서 가다실에서 추가된 5가지 HPV유형인 HPV 31형, 33형, 45형, 52형, 58형 관련한 자궁경부, 외음부, 질 관련 질환 케이스는 0건이었으며, 한국인 대상 접종군에서 지속감염 케이스가 0건 보고됐다.
김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 발병이 줄고 있는 반면 국내 자궁경부암 발병율은 여전히 높다. 이번 연구를 통해 HPV 감염이 암 이환율과 사망률에 중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특히 한국 여성에 있어 HPV 52형, 58형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게 HPV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HPV 백신을 접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HPV 백신 접종, 국가예방접종프로그램 도입 국가…총 116개국
MSD 글로벌 메디컬 디렉터 곤잘로 페레즈 박사는 전 세계의 HPV 백신으로 인한 영향 및 접종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곤잘로 박사는 가다실9에 포함된 HPV유형으로 인해 자궁경부암, 항문암, 외음부암, 질암 등 HPV 관련 질환에 추가적인 도움을 줄 것을 언급하며, HPV백신에 대한 장기간의 임상 연구 및 사용 경험으로부터 가다실9의 효능 및 안전성 프로파일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현재 가다실9에 포함된 추가 5가지 유형(HPV 31, 33, 45, 52, 58)으로 인한 HPV관련 질환 예방효과는 6년간 진행된 임상 연구의 primary outcome의 결과에 따라 약 97%로 확인됐다.
또 HPV 백신 접종을 국가예방접종프로그램(NIP)로 도입한 국가는 2019년 2월 26일 기준으로 총 116개국이었으며,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으로 NIP를 도입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HPV관련 질환의 감소된 실례가 소개됐다. 이들 국가 중 호주, 미국을 비롯한 27개국이 NIP에 가다실9를 채택하고 있다.
MSD 아시아태평양 의학부 김진오 상무는 질의응답을 통해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에서의 HPV관련 질환 부담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었다”며, “한국인에서의 가다실9 예방효과 및 안전성 프로파일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앞으로 한국인에서의 HPV 관련 질병 부담을 줄이고, 더 나아가 국내 공중보건 증진에 도움을 줄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 여성에서 다발암 중 두번째를 기록하고 있는 치명적 질환이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환자수는 2018년 6만 2,071명으로 2009년과 비교해 연평균 2.1% 증가했다.
자궁경부암은 주로 성관계를 통한 HPV 감염이 원인이다. HPV 감염과 관련된 질환은 자궁경부암 외에도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생식기 사마귀 등이 있다. 국내 HPV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에서 18~29세 여성의 49.9%가 HPV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