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인체지방조직의 대변신…의료폐기물에서 생체재료로 365mc-대구첨복재단-메디칸, MOU 체결…재생의학 치료법 연구 및 개발 추진 2018-07-30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우리 몸에서 빼낸 지방으로 재생의학 치료법 연구 및 개발이 추진된다. 


365mc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대구첨복재단), 바이오기업 메디칸이 지방조직을 활용한 재생의학 치료법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지난 27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그동안 의료 폐기물로 분류돼 전량 폐기됐던 인체 지방조직에서 이식용 뼈, 연골, 머리카락, 인공혈관, 경막대용재 등 다양한 생체재료로 활용 가능한 다량의 콜라겐을 포함, 세포 외 기질, 지방줄기세포, 히알루론산 등 여러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천덕꾸러기 폐지방은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생체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업무 협약에 따라 365mc가 인체지방 조직 및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고, 대구첨복재단은 바이오 소재 기술개발 등 지원, 메디칸은 의약품 개발을 중점으로 연구하게 된다.
또 세 기관은 ▲바이오 소재 및 의료기기 연구개발 ▲시설 및 장비의 공동 사용 및 연구개발 인력의 교류 ▲바이오 소재 유효성과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제품화 및 사업화 지원 ▲바이오 소재 기술 및 학술연구 정보 교환 ▲국가/민간 차원의 R&D 과제 공동 참여 등의 내용으로 협력하게 된다.


대구첨복재단은 이미 2016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대구광역시의 지원으로 폐인체지방에서 콜라겐, 지방줄기세포 등의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인체유래바이오신소재개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365mc 대표원장협의회 김남철 회장은 “인체 유래 지방은 바이오 소재 개발, 재생의학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학계에서는 인체 유래 지방 추출물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이 활발해지면 난치성 질환 치료 등의 새로운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협약으로 비만 치료에 대한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재생의학 연구 및 제약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대구첨복재단 이영호 이사장도 “앞으로 재단은 인체 바이오소재 공정 가공처리,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과 유효성 평가, 시제품을 만드는 3D바이오 프린팅 기술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며, “이번 규제 개선을 계기로 대구첨복단지가 미래 첨단재생의료기술 및 인체유래바이오신소재산업의 메카로 발돋움할 것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