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수령자의 83.5%가 “먹거리 구매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이 실시한 수도권 소비자 1,000명 대상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당시(60.0%)보다 23.5%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소비 패턴 변화 뚜렷
농촌진흥청은 지난 8월 11일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농식품 소비 진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최근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먹거리 중에서는 과일·과채류(70.7%)와 육류(66.4%) 소비를 늘린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특히 과일류에서는 복숭아(38.1%)가 가장 인기가 높았으며, 이어 수박(22.1%), 사과(18.3%), 포도(13.0%) 순으로 나타났다.
육류 소비 증가 품목으로는 한우(40.2%)가 1위를 차지했고, 돼지고기(34.3%), 수입 쇠고기(11.6%)가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는 한우, 60대 이상은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곡물류는 쌀(42.0%), 콩류(31.2%), 옥수수(12.6%) 순으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채소류는 오이(21.0%), 상추(14.0%), 배추(11.9%) 순으로 나타났다.
◆정책 수용도 높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제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1.4%가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불편하지만 취지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30.4%, “상관없다”는 의견은 4.1%로 전체 정책 수용도가 85.9%였다.
반면 사용처 제한이 불편하다는 응답은 14.1%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33.3%)에서 가장 불편함을 느꼈으며,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농업경영혁신과 위태석 과장은 “소비쿠폰 사용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살아난 것 같다”라며 “소비 회복과 농가 소득 안정이라는 정책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농식품 홍보, 판촉 지원 등에 힘을 보태겠다”라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