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상 임상시험(대규모 신약 효과 검증 시험) 결과와 차이를 보이는 흥미로운 결과가 발표됐다.
부산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신호진 교수가 지난 5월 23일부터 25일까지 일본에서 개최된 일본다발골수종학회에서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들의 과거 진료 기록을 바탕으로 2차 치료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신호진 교수팀은 Ixazomib, Lenalidomide, Dexamethasone을 병용한 경구 복합요법(IRd)과 Carfilzomib, Lenalidomide, Dexamethasone을 병용한 주사 복합요법(KRd)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국내 실제 진료 현장에서 해당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IRd 복합요법이 KRd 복합요법보다 생존율 면에서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국내 임상의들은 고령 환자나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경구약제로 구성된 IRd 요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진 교수는 “3상 임상시험은 신약 평가에 필수적이지만, 실제 임상시험에 등록되는 환자는 전체 환자의 30~40%에 불과하다”며 “이번 연구는 고령, 동반 질환, 활동도 저하 등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하지 못한 대다수 환자들이 실제 진료에서 어떤 치료를 받고 있는지를 반영한 의미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현실에 기반한 치료 데이터를 통해 진료 현장에서 보다 적합한 약제를 선택할 수 있는 실제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성과는 다발골수종 환자의 맞춤형 2차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임상 연구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공공 의료기관 주도의 환자 중심 치료 가이드라인 구축에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성과와 학술적 완성도, 임상적 기여도를 인정받아 일본다발골수종학회에서 우수 포스터 발표상(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을 수상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