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원자력의학원 악티늄 생산 허가·원자력연 요오드 제조 허가 획득 - 해외 의존 탈피해 환자 치료 접근성 대폭 개선 전망 - 암 치료 핵심 동위원소, 국내 생산…산학연 협력체 구성, 희귀암 치료제 개…
  • 기사등록 2025-05-23 21:00:02
기사수정

최근 갑상샘암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요오드(I-131)의 해외 공급이 중단되면서 국내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악티늄(Ac-225)의 경우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 환자들이 해외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수년간 지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가 지난 22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방사성의약품 관련 기업 4개사, 방사성의약품 및 핵의학 전문가 등과 함께 개최한 간담회를 통해 암 치료에 필수적인 방사성 요오드와 악티늄의 국내 안정 생산·공급 체계 구축을 발표했다.


◆ 국산화 시급성 대두

김용균 한국방사선진흥협회 부회장은 주요 동위원소의 해외 의존 및 공급 불안정을 지적하며, 최근 산·학·연 대상 실태조사에서도 악티늄(Ac-225)과 요오드(I-131)가 국산화 우선 요구 품목으로 꼽힌 사실을 소개했다. 


이어 미국 등 주요국 사례를 들어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핵심 동위원소에 대한 국가 차원의 수급 관리 체계'를 제안했다.


◆ 악티늄 국내 최초 생산 기반 마련, 난치암 치료 가능성 열어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지난 12일 사이클로트론 기반의 악티늄(Ac-225) 생산 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국내 최초 생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임상 연구 중인 악티늄(Ac-225) 치료제 개발이 완료된다면 악성 전립선암, 신경내분비종양 등 난치·희귀암의 국내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악티늄은 암세포 표적리간드와 결합하여 임상에서 신경내분비암 및 전립선암 환자 치료에 주요하게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다. 


방사성 라듐-226(Ra-226) 표적에 양성자빔(18~30 MeV)을 조사하여 핵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화학적 분리·정제 과정을 거쳐 의약품으로 활용된다.

◆ 방사성 요오드 국내 공급 체계 완비, 갑상샘암 치료 안정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요오드(I-131)에 대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로써 해외 공급 차질 상황에서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


방사성 요오드는 갑상샘암 및 갑상샘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용 동위원소로, 원자로 기반으로 생산된다. Te-130 표적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변환된 I-131을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한국에서 적용되고 있다.


◆ 알파신약 연구협의체 구성…치료제 개발 가속화

간담회 이후 한국원자력의학원은 4개 방사성의약품 기업(SK바이오팜, 새한산업, 셀비온, 퓨쳐켐)과 함께 ‘알파신약 연구협의체’ 구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악티늄(Ac-225), 아스타틴(At-211) 등 알파입자 방출 동위원소를 활용한 치료제의 신속 개발, 규제 개선안 마련, 국가 연구개발 과제 발굴·제안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방사성동위원소는 치료 방사선(알파선/베타선), 진단 방사선(감마선/양전자)을 방출하여 질병세포를 파괴하거나 진단하는 역할을 한다. 


암세포 등 질병세포 표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물질인 표적 리간드를 방사성동위원소와 더해 방사성의약품으로 개발되며, 소량 약물 투입으로 효과가 우수하고 짧은 개발기간, 낮은 투자 비용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정부, 핵심 동위원소 100% 자급 목표로 적극 지원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더 이상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핵심 동위원소를 해외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이번 악티늄(Ac-225) 생산 허가와 방사성 요오드(I-131)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품목허가는 핵심 동위원소 자립에 있어 큰 첫걸음”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 안에 국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해달라”며, “정부도 동위원소 생산 기반 구축, 방사성의약품 개발 연구개발 지원 확대 등 핵심 동위원소 100% 자급을 위해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773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동아제약, 다케다, 한올바이오파마,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