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는 유방의 모양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방사선량 평가용 유방 움직임 모사 팬텀(인체 모형)’이 개발, 특허로 등록됐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원장 오주현) 방사선종양학과 박병도·김정호 의학물리학자, 임해민 방사선사와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 방사선종양학과 최진현 교수, 박소현 교수 연구팀은 이번 개발을 통해 유방암 방사선치료의 정밀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팬텀 디자인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실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유방의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방사선량 평가용 유방 움직임 모사 팬텀’을 개발했다.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실리콘, 뼈 구조는 석고 소재로 구현했으며, 팔의 움직임에 따라 유방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이번 특허 등록으로 향후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정밀도 향상과 함께 관련 연구 및 교육 자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방사선치료에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환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량(선량)의 정밀한 평가는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선량평가를 위해 실제 환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할 수 없으므로, 인체를 모사한 ‘팬텀’이라는 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기존 팬텀은 단단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팔의 위치, 호흡 등 신체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실제 유방의 형태를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특히,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와 같이 정밀도가 중요한 치료에서는 작은 움직임도 방사선량의 오차로 이어져 치료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대학이던 성균관(미군정때 향교재산으로 지원법률 제정되어 법제화된 성균관.성균관대).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서강대는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상위규범인 국제법,한국사, 헌법, 세계사,주권기준이라 변하지 않음. 이 뒤로 주권.자격.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그뒤 서울대 미만 전국 각지역 대학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