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임산부 게놈 시퀀싱 통해 ‘RYR2’ 유전자 조산 영향 가능성 확인 - 이대목동병원 허영민·김영주 교수팀
  • 기사등록 2023-12-13 19:30:17
기사수정

임산부 게놈 시퀀싱을 통해 ‘RYR2’ 유전자 조산 영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대목동병원(병원장 유재두) 산부인과 허영민·김영주 교수팀은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이대목동병원을 방문한 조산 임신부 13명과 만삭 출산한 임신부 18명의 혈액에서 전체 게놈 시퀀싱 분석을 해 조산과 관련이 있는 단일 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다. 

유전자 연관성 연구를 통해 256개의 SNP를 선택하고 추적했으며, 이온 채널 결합 및 수용체 복합체 경로와 관련된 25개의 SNP에 대해 60명의 다른 임신부(조산 30명, 만삭 출산 30명)를 대상으로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검증 연구를 수행했다. 


우성적 유전 모델을 통해, rs2485579(유전자명: RYR2)의 소수 대립유전자를 가진 여성의 조산 위험이 4.82배 증가함을 밝혀냈다.


이 RYR2 유전자는 평활근의 근소포체 막에 위치한 리아노딘 수용체의 두 번째 이소형으로, 근소포체 내의 Ca2+을 세포질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자궁 근세포는 평활근인데 세포 내 Ca2+농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면 자궁근의 수축이 생긴다. 


이 연구의 주저자인 허영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조산의 유전적 원인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자궁수축억제제를 실제 임상에서 사용했을 때 산모들 간의 반응 차이 및 부작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김영주 교수는 “조산은 전체 임신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고, 갈수록 낮아지는 출산율 및 증가하는 고위험 산모들을 고려하면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조산 예측을 위한 잠재적인 바이오 마커 제시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1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PLOS ONE에 '한국 임산부의 조산에 대한 게놈 전체 및 후보 유전자 연관성 연구(A genome-wide and candidate gene association study of preterm birth in Korean pregnant women)’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교수팀은 추후 연구를 통해 해당 SNP와 RYR2 유전자 기능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혀낸다면 비정상적인 세포 내 Ca2+농도로 인한 자궁 수축 기능 장애와 조산의 위험, 자궁수축억제제의 개인 간의 반응 차이까지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교수팀은 조산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과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870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