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신고된 중대한 이상반응 1만 8,116건 -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사례 분석 결과
  • 기사등록 2022-04-20 01:00:04
기사수정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4월 10일까지 신고된 중대한 이상반응은 1만 8,116건(접종 10만 건당 15.0건)으로 보고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이  중대한 이상반응 의심사례 46만 6,004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여성 신고율 높아 

남성의 경우 중대한 이상반응은 8,326건(접종 10만 건당 13.9건)이 신고됐고, 여성은 29만 8,632건(접종 10만 건당 16.1건) 이 신고돼 여성의 신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80세 이상>70대>60대 순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율은 80세 이상(접종 10만 건 당 27.1건), 70대(접종 10만 건당 23.4건), 60대(접종 10만 건당 19.3건) 순으로 높았다.

19세 이하(접종 10만 건당 9.6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령별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율(접종 10만 건당)은 80대 이상(27.1건) > 70대(23.4건) > 60대(19.3건) > 30대(14.2건) > 40대(12.1건) > 50대(12.0건) > 20대(11.4건) >19세 이하(9.6건)로 조사됐다. 


◆백신별

백신별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율(접종 10만 건당)은 아스트라제네카(27.8건), 얀센(26.7건), 화이자(12.8건), 모더나(10.3건), 노바백스(9.7건) 순으로 나타났다.


◆증상별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1,948건(접종 10만 건당 1.6건)이고,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1만 4,627건(접종 10만 건당 12.1건), 신고 당시 사망으로 신고된 사례는 1,541건(접종 10만 건당 1.3건)이었다. 

주요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증상(신고된 증상의 진단적합성이나 백신과의 인과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주로 급성마비, 급성 심혈관계 손상, 백신 관련 악화된 질병, 혈소판 감소 자반증 등이었다.

그 외 길랭-바레 증후군(382건), 혈소판감소증(347건), 혈전증(209건),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74건), 척수염(24건) 등이 신고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912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