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제약사들의 R&D 총 투자비용 및 인력, 암과 희귀질환 환자를 위한 임상연구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아비 벤쇼산)가 19일 28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2017년 국내 R&D 투자 현황’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28곳에서 임상연구에 투자된 R&D 총비용은 2016년 2,558억원에서 2017년 2,710억원으로 5.9% 증가했다. 이는 전 세계 제약사의 2016년 대비 2017년 R&D 비용 증가율인 3.4%를 상회한 결과다.
R&D 인력 역시 2016년 총 1,386명 고용에서 2017년 1,530명 고용으로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제약사 28곳에서 2017년에 수행한 임상연구 건수는 총 1,631건으로, 2016년 1,354건 대비 20.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년(2014년~2017년) 간 전 세계 제약사 주도의 의약품 임상연구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은 전 세계 임상연구수의 국가별 비율에서 전년대비 0.10%p 증가한 3.51%를 기록하며 세계 8위에서 6위로 두 단계 상승했다.
글로벌 제약사의 임상연구 건수 증가와 함께 임상연구용 의약품의 비용도 2016년 1,060억원에서 2017년 1,291억원으로 21.7% 증가했고, 임상연구를 위해 국내 환자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해 새로운 치료기회를 부여하는 효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28개 글로벌 제약사에서 진행한 전체 임상연구 중 2017년 암질환 임상연구 건수와 희귀질환 임상연구 건수는 각각 771건, 274건으로, 2016년의 각각 507건, 79건 대비 모두 증가했다.
특히 희귀질환 임상연구 건 수는 2016년 대비 2017년에 3배 이상 급증(2016년 79건, 2017년 274건)했다. 전체 임상연구 건 수 중 암질환 임상연구와 희귀질환 임상연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2017년 각각 47%, 17%로, 2016년의 각각 39%, 6% 대비 모두 증가해 임상연구 중 암과 희귀질환 환자를 위한 임상연구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