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 10명중 1명 담낭용종…복부초음파검사 2만 3,827명 분석 결과 - 중앙대병원 최유신 교수팀, B형간염·대사증후군 남성 발생 위험 높아
  • 기사등록 2016-12-06 00:05:07
  • 수정 2016-12-06 00:05:47
기사수정

담낭(쓸개)에 혹이 생기는 ‘담낭용종(Gallbladder polyp, 쓸개혹)’이 우리나라 사람 10명중에 1명꼴로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만성B형간염 및 대사증후군 남성에게서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외과 최유신 교수팀은 이 병원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건강검진을 한 건강한 한국인 중 복부초음파검사를 받은 14세에서 89세(평균연령 45.7세) 2만 3,827명을 분석한 결과, 9.96%가 담낭용종이 있는 것을 확인됐으며, 이중 남성이 65.9%, 여성 34.1%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담낭용종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담낭용종이 있는 사람은 만성B형간염(Chronic hepatitis B)과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 위험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담낭용종 환자 중 5%가 담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대사증후군이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유신 교수는 “과거 1999년 한국인의 담낭용종 유병율이 2.94%인데 반해 2012년 8.5%에 이어 이번 연구 결과 9.96%로 높아진 것에는 복부초음파검사 빈도가 과거에 비해 늘어난 것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습관으로 인해 고칼로리와 고지방식이 늘어남에 따라 담낭용종의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 환자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이번 연구 결과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B형간염 또한 담낭 내 점막에 영향을 미쳐 담낭용종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만성B형간염 및 대사증후군, 헬리코박터균이 있는 사람은 복부초음파를 통한 담낭용종 검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건강한 사람의 담낭용종 병변 유병율 및 위험인자를 조사한 연구 논문(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Polypoid Lesions in a Healthy Population)’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한편, 담낭용종은 담낭 내강으로 돌출하는 모든 형태의 혹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병변을 포괄하는 비종양성 용종과 종양성 용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술하기 전까지는 그 어떤 검사로도 양성과 악성을 정확히 감별해 낼 수가 없기 때문에 담낭용종의 치료에 있어 악성 병변을 조기에 발견해 담낭절제술을 통한 근본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8095025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000); })(jQuery)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