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화성궤양, 젊은 세대 감소vs노령인구서 지속증가 - 20~30대 연평균 10.1% 감소, 70대 이상 노인 연평균 2.5% 증가
  • 기사등록 2014-11-29 22:44:49
  • 수정 2014-11-29 22:46:42
기사수정

젊은 세대에서 감소하는 ‘소화성궤양’이 노령인구에선 여전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직무대리 박병태)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 ‘소화성궤양’의 진료인원은 2009년 251만2,000명에서 2013년 206만8,000명으로 17.8% 감소(연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5.jpg
[그림] 연도별 ‘소화성궤양’ 진료인원 추이 (2009-2013년)

2013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1만1,893명으로 가장 많고, 60대(9,458명), 80대(8,331명) 순(順)으로 나타나 노령인구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9-6.jpg
[그림] 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소화성궤양’ 진료인원 (2013년)

연도별 진료인원 추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총 진료인원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0대와 30대 연령층에서 감소율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연평균 10.5%, 9.8% 감소).

그러나 50대와 60대에서 감소율이 둔화되다가(각각 연평균 2.0%, 4.2% 감소), 70대 이상에서는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연평균 2.5% 증가).
9-7.jpg

[그림] 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소화성궤양’ 진료인원 변화 (2009-2013년)
 
젊은 연령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감소하고 노인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여전히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소화성궤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소염제가 있는데, 국내 역학조사에서 H. pylori 감염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H. pylori 감염에 의한 소화성궤양의 발생은 감소하고 이와 대조적으로 비스테로이드소염제에 의한 소화성궤양은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데, 인구고령화로 노인층에서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로 인한 노인층에서 소화성 궤양의 발생도 더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학회에서 발표한 자료에서도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이 동반하여 급격히 늘고, 이러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제인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혈전제의 복용이 많아지고, 더불어 퇴행성 관절염으로인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진통소염제)의 복용이 늘어 진통소염제가 궤양의 원인인 경우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성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남성이 3,914명, 여성이 4,598명으로 여성이 1.2배 많았고, 전체 진료인원도 남성이 95만9,283명, 여성이 110만8,378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그러나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증감률을 보면 여성의 연평균 감소율이 5.3%로 남성의 연평균 감소율 4.1%보다 높았다.

‘소화성궤양’의 세부상병별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13년 기준으로‘위궤양(K25)’이 121만1,67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세불명부위의 소화성궤양(K27)이 52만2,111명, 십이지장궤양(K26.x)이 31만5,697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진료인원 감소율은 상세불명의 소화성궤양이 7.0%로 가장 컸고, 십이지장궤양은 감소율이 1.6%로 가장 적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소화성궤양’의 건강보험 진료비를 살펴보면, 전체진료비는 2009년 3,435억 원에서 2013년 2,350억 원으로 32% 감소(연평균 9.1% 감소)하였다. 

진료형태별로는 약국 약제비가 47%로 가장 많이 감소(연평균 14.7% 감소)하였고, 외래진료비가 23% 감소(연평균 6.4% 감소)하였으며, 입원진료비는 4% 감소(연평균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 ‘소화성궤양’의 성별, 연령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2. ‘소화성궤양’의 인구 10만명당 성별, 연령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3. ‘소화성궤양’의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비
4. ‘소화성궤양’의 연도별 건강보험 1인당 진료비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1692&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726862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