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의학회, 신규 정회원 학회 9곳, 준회원학회 5곳 진입
- 대한의학회(회장 이윤성)가 지난 3월 28일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정기총회에서 신규 정회원학회 9곳과 준회원학회 5곳이 선정됐다.
신규 정회원학회는 다음과 같다. ▲대한뇌신경재활학회 ▲대...
- 2017-04-17
-
- 당뇨병 가족력 있는 4명 중 1명 공복혈당장애
- 한국인에게 흔한 2형(성인형) 당뇨병 가족력이 있으면 공복(空腹)혈당장애를 갖게 될 위험이 1.4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술을 즐겨 마시는 사람의 공복혈당장애 위험은 비(非)음주자의 1.7배였다. ‘예비...
- 2017-04-13
-
- 비만 여학생 간식거리로 생과일 덜 선택, 비만 학생 튀긴 음식 자주 섭취
- 과체중·비만 청소년이 정상 체중 청소년보다 간식은 적게 하고 외식은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원대 식품영양학과 연지영 교수가 2007∼2009년 국민...
- 2017-04-11
-
- 어떻게 걷느냐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 2배 차이…‘가능한 가장 빠르게 걷기’가 효과적
- 걷기 운동을 하더라도 어떻게 걷느냐에 따라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이 약 2배 차이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인이 걷는 속도를 자율 조절해 걸으면서 ‘뛰지는 안되 가능한 한 가장 빠르게 걷기’를 할 때...
- 2017-04-10
-
- 나트륨 과다섭취…20대 가장 취약 vs 가정주부 가장 적게 섭취
- 20대가 나트륨 과다 섭취에 가장 취약한 연령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사회의 나트륨 줄이기 캠페인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나트륨의 하루 섭취량(2000㎎)을 바로 알고 있는...
- 2017-04-07
-
- 국·죽에 MSG 소량 사용시 나트륨 섭취 25%감소 가능
- 조미료인 MSG를 소량 사용하면 소금으로 음식의 간을 맞출 때에 비해 나트륨 섭취를 25%나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죽을 조리할 때 정제염 대신 천일염을 넣으면 나트륨 섭취를 약간 줄일 ...
- 2017-04-06
-
- 피부 건강에 견과류·과일이 좋은 이유는?…피부 산도 감소
- 견과류·과일이 피부 산도(酸度)를 낮춰 아토피 피부염·여드름 등 피부 질환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반면 음료·술은 피부 산도를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건강한 피부의 각질층은 pH 5∼7의 약산성을...
- 2017-04-04
-
- 대한의학회 의학학회 대상…4개 학회 최우수상 수상
- 대한의학회(회장 이윤성)가 지난 3월 28일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정기총회를 통해 2017년 예산을 확정하고, 우수학회에 대한 시상을 했다.
이윤성 회장은 “의...
- 2017-04-02
-
- 초등학생 스마트폰 사용, 식생활에도 악영향 입증…패스트푸드·탄산음료 섭취횟수 많아
- 초등학교 고학년생 10명 중 4명은 스마트폰을 하루 2시간 이상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이런 초등학생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간식거리로 패스트푸드·아이스크림·탄산음료를 더 많이 선택하는...
- 2017-03-31
-
- 음주 학생 에너지 드링크 섭취율 금주 학생의 1.3배
- 음주 학생이 금주 학생보다 에너지 드링크 섭취율이 1.3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알코올과 에너지 드링크를 함께 섭취하면 부작용 상승효과가 있고 문제 행동·건강위협 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주...
- 2017-03-31
-
- 대사증후군 유병률, 블루칼라 여성 화이트칼라 3배
- 블루칼라 직업을 가진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화이트칼라 여성보다 약 3배나 높고, 남성도 블루칼라가 대사증후군을 가질 위험성이 화이트칼라보다 높았지만 여성만큼 직업군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
- 2017-03-27
-
- 수면시간 짧은 노인, 평균 연령 최고…나이 들어도 적정시간 자야 생활·건강에 유익
- ‘나이 들면 잠이 줄어든다’는 속설을 뒷받침해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나이 들어도 적정시간(하루 6∼8시간) 수면을 취해야 생활·건강에 유익하다는 내용도 함께 제시됐다.
2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
- 2017-03-25
-
- 여성 칼륨 섭취 부족 남성보다 심각…칼륨 섭취 최대 기여식품 채소
-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칼륨 섭취량이 정부가 정한 칼륨 하루 충분 섭취량(3500㎎)의 85%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칼륨을 일평균 700㎎이나 적게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칼륨은...
- 2017-03-24
-
- 30~40대 여성 가구주 근로자 정신건강 상태 ‘가장 열악’
- 여성 가구주 근로자 절반이 정신건강 상태가 나쁘고, 30~40대 여성 가구주 근로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열악했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울산대 간호학과 이진화 교수팀이 안전보...
- 2017-03-22
-
- 나트륨 섭취 많으면 도파민 과다분비로 과식 유발
- 나트륨 섭취가 많을수록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나트륨을 하루 8000㎎ 이상 섭취하는 남성의 비만 위험은 2000㎎ 미만 먹는 남성의 1.35배였다.
관련하여 세...
- 2017-03-21
-
- 성인 여성 10명 중 3명 탈수 상태…나이 들수록 탈수 상태 위험 증가
- 성인 여성 10명 중 3명이 탈수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저체중 남성, 과체중·비만 여성이 탈수 상태일 위험이 유독 높았다.
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
- 2017-03-09
-
- 약수터 비치 음용도구 15%서 식중독균 검출
- 약수터 음용도구의 15%가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오염된 것으로 확인돼 더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
- 2017-03-07
-
- 비타민 D 혈중 농도 최저 20대 여성, 최대 기여 식품은 어패류
- ‘암 예방 비타민’으로 통하는 비타민 D의 혈중 농도가 가장 낮은 연령대는 20대이며, 최대 기여식품은 어패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2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
- 2017-02-24
-
- 시판 음료 한 병, WHO 하루 당류 섭취 제한량 육박
- 국내 시판되는 음료 한 병(평균 당류 함량 21g)만 마셔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최근 새로 권장한 하루 당류 섭취 제한량(25g 이내)의 대부분을 채우는 것으로 밝혀...
- 2017-02-21
-
- 종편 식생활 관련 프로 최다 오류…식품을 약으로 오인
- 종합편성채널(종편)의 식생활관련 프로그램에서 잘못됐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내용이 1편당 평균 1.2회 방송됐으며, 가장 흔한 오류는 시청자가 식품을 약으로 ...
- 2017-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