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BRCA1 유방암 새로운 치료 가능성 제시…유방암 발생과 진행 효과적 억제 기대 - 국립암센터 김상수 박사, 백혜정·조은주 연구원, - 서울대 황대희 교수, 한근희 대학원생, 캘리포니아주립대 황창일 교수 연구…
  • 기사등록 2025-08-15 09:00:02
기사수정

BRCA1 돌연변이 유방암의 위험성이 높음에도 예방과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은 쉽지 않다. 

최근에는 올라파립(AZD2281)을 이용한 보조 항암화학요법이 추가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았지만, BRCA1 결실 유방암에 대한 대처가 시급히 필요하고 치료 옵션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BRCA1 유전자 결실로 유발되는 유방암의 발생과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 방사선의학연구과 김상수 박사 연구팀(공동 제1저자: 백혜정·조은주 연구원), 서울대학교 황대희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한근희 대학원생),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황창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유방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에서 대사의 변화로 인해 암이 더 쉽게 악성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에 주목해, BRCA1 돌연변이 마우스 아바타의 모델을 사용하여 대사 조절단백질인 mTOR가 BRCA1 돌연변이 유방암의 발생 및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적 및 약리학적 저해를 통해서 연구했다. 


그 결과, mTOR 유전자를 없앤 BRCA1 돌연변이 마우스에서는 유선 발달이 억제되고 종양 형성률이 37.5%에서 6.9%로 감소했고, mTOR를 억제하는 약물인 에베로리무스를 15개월 장기간 투여했을 때, 대조군(93%)에 비해 종양 발생률이 46%로 유의미하게 감소됐다. 


또한 이미 유방암이 생긴 마우스에  mTOR 억제제를 투여하니 유의미하게 종양의 진행이 억제되고 생존기간이 연장됐다. 

흥미로운 점은 동일한 BRCA1 돌연변이를 가진 유방암이라 하더라도 개체 간 에베로리무스에 대한 반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규명하기 위해 암조직으로 오믹스 분석을 수행한 결과, 류코트리엔-호중구 활성화가 약물 민감성과 내성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는 mTOR 억제를 통해 BRCA1 관련 유방암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는 전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임상연구로의 확장을 통해 환자 치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상수 박사는 “이번 연구는 BRCA1 돌연변이유방암의 예방과 치료 모두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타겟을 제시한 것”이라며, “이는 향후 mTOR 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생체지표로 활용될 수 있어, 앞으로 후속 임상 연구를 통해 BRCA1 돌연변이 보유 환자들에게 정밀의학 기반 맞춤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공익적암연구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CANCER COMMUNICATIONS(IF 24.9)에 ‘Inhibition of mTOR attenuates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BRCA1-associated mammary tumors’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BRCA1 단백질은 DNA 손상 복구, 세포 주기 제어, 중심체 복제 및 세포 사멸과 같은 유전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종양 억제단백질이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CA1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은 70세까지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이 57%, 난소암이 발생할 위험이 40%로 보고된다. 


또한 이 돌연변이로 인한 유방암은 일반적으로 삼중 음성 유방암의 특성을 나타내고 공격적인 경향이 있어서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BRCA1 돌연변이가 잇는 여성에게 정기적인 유방 검진과 함께 유방암 위험 감소를 위한 유방·난소절제 수술을 고려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김상수 박사팀은 2000년도 초반부터 유전자적중방법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BRCA1 유전자가 특이적으로 제거된 마우스 아바타를 이용하여 BRCA1 결실 유방암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이 실험용마우스의 경우 BRCA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어서, BRCA1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는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유방암이 발생된다. 


이 마우스에서 발생된 유방암의 특성은 사람의 BRCA1 돌연변이 유방암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바탕으로 BRCA1 돌연변이 유방암의 예방과 치료에 적합한 타겟을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와 같이 마우스 아바타를 이용하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 비해서 훨씬 안전하게 연구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가능성 있는 치료 타겟을 신속하게 발굴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937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