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6월 주요 인물동정]고려대구로, 성빈센트, 순천향대천안, 아주대, 한림대성심병원 등 소식
  • 기사등록 2025-07-02 09:00:04
기사수정

6월 주요 인물동정은 다음과 같다.


◆고려대 구로병원 이재민 교수, W송원재단 연구장려상 수상

고려대학교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 성형외과 이재민 교수가 제14회 대한성형외과학회 기초재건성형 학술대회에서 ‘림프 극성 기반 피판을 활용한 즉시 림프관 재건술의 동물모델 타당성 연구(Immediate lymphatic reconstruction based on lymph-axiality-based flap: Feasibility in animal study)’를 통해 W송원재단 연구장려상을 수상했다.

W송원재단 연구장려상은 매년 성형외과 기초의학연구를 활성화하고자 매년 가장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 및 연구계획서를 발표한 의료진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재민 교수는 “이번 예비 연구를 통해 림프극성 개념의 기초 데이터를 확보했다. 향후 샘플 수를 늘려가며 개선된 모델로 해당 연구의 근거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며 “이번 연구가 림프부종 예방 및 림프관 재건 분야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성빈센트병원 서지원 교수, 아시아태평양 비만대사외과학회 우수 구연상 수상

성빈센트병원 위장관외과 서지원 교수가 최근 개최된 ‘2025 아시아태평양 비만대사외과학회 및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비만대사수술 후 위내시경 소견의 현황 및 임상적 의의 분석’을 주제로 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서지원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산하 8개 병원에서 비만대사수술 후 시행된 내시경(EGD)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만대사수술 후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한 경우는 위소매절제술 환자의 32.9%, 루와이 위우회술을 받은 환자의 9.4%로 확인됐으며, 식도열공탈장은 위소매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17.2%에서 관찰됐다.


또한, 궤양은 루와이 위우회술을 받은 환자의 13.2%에서 나타났다.

서지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만대사수술 후 시행되는 위내시경 검사가 합병증의 조기 발견과 치유 상태 평가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비만대사수술 환자들의 체계적인 합병증 관리를 위해 수술 후 정기적인 내시경 추적검사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순천향대천안병원 송금종 교수, 비만대사외과학회 최우수 발표상 수상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송금종 교수(외장관외과)가 최근 서울 메이필드호텔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 비만대사외과학회(APMBSS) 및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KSMBS) 국제학술대회’에서 ‘위소매절제술 후 위의 형태와 체중감량 및 역류성 식도염 간의 관계에 대한 3D CT 기반 연구(Morphology of the Stomach after Sleeve Gastrectomy Using 3D CT Volumetry and Its Relationship to Weight Los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주제의 논문을 발표해 최우수 발표상(Best Oral Presentation Award)을 수상했다.

송금종 교수는 “기존의 2차원 영상 기반 평가를 넘어, 보다 정량적이고 입체적인 3D CT를 이용한 위 형태 분석이 비만대사수술 예후 예측에 유용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용성을 추가로 입증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대병원 정재연·은정우·김순선 교수팀, ‘The Liver Week 2025’ 우수구연상 수상

아주대병원(병원장 박준성) 소화기내과 정재연·은정우·김순선 교수팀이 지난 5월 31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The Liver Week 2025’에서 ‘CTC-537E7.3 as a Liver-Specific Bio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Diagnostic and Prognostic Implications’라는 내용으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연구의 핵심은 간세포암종(HCC) 환자에서 간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비암호화 RNA(lncRNA)인 CTC-537E7.3가 간암의 진단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서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한림대성심병원 김명진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연구상 수상

한림대학교성심병원(병원장 김형수) 내분비내과 김명진 교수가 최근 열린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7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CT 분석을 통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과 근육내 지방침착의 연관성(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and Myosteatosi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교신저자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정창희·김홍규 교수)’ 이라는 논문으로 ‘DMJ International Publication Award’를 수상했다.

이 상은 대한당뇨병학회가 만 45세 이하 젊은 연구자 가운데 최근 1년간 SCIE급 국제 학술지에 당뇨병 및 대사질환 관련 우수 연구논문을 발표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학술상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1만 8154명을 대상으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과 근지방증(Myosteatosis)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MASLD 환자는 기존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 환자보다 근육 감소 및 근육 내 지방 축적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연구는 MASLD라는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NAFLD 진단보다 근육 건강이 취약한 고위험군을 더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음을 입증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김명진 교수는 “당뇨병뿐만 아니라 지방간, 근지방증 등 다양한 대사 질환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욱 폭넓고 깊은 연구를 수행해 환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 방법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근육 및 대사성 질환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피인용지수: 9.4)의 2024년 10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49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