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백신 접종, 코 조직에 기억 T 세포 유도…항바이러스 기능하며 1년 이상 지속 - 세브란스병원 나민석, 김창훈 교수, 카이스트 신의철 교수팀
  • 기사등록 2024-10-24 23:30:04
기사수정

코로나19 백신이 코에 방어면역을 위한 기억 T세포를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나민석, 김창훈 교수 연구팀이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팀은 감염 경험이 없는 백신 접종자가 코 조직에 기억 T 세포를 갖고 있는지와 존재하는 기억 T 세포 특징을 밝혔다.

교수팀은 코로나19 미접촉자, 백신접종자, 돌파감염자(백신 접종 후 감염자)의 코 조직과 혈액을 채취하고 MHC-I 다량체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과 단일세포 RNA 시퀀싱 등을 사용해 코로나19 기억 T 세포를 검출하고 특성과 기능을 분석했다. 


코로나19 백신이 생성하는 코 조직 기억 T 세포의 특성을 밝혔다. 

감염된 적이 없는 백신접종자의 코 조직에서도 코로나19 기억 T 세포를 검출할 수 있었고 이 세포들은 돌파감염 후 생기는 기억 T 세포와 유사하게 코 조직에 상주하며 면역 물질인 인터페론감마 등을 분비하며 항바이러스 기능을 했다. 


기억 T 세포가 코에서 존재하는 기간도 1년을 넘겼다.

나민석 교수는 “mRNA 백신 접종만으로도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흡기 점막 기억 T 세포를 생성되는 것을 최초로 입증한 연구 결과이다.”라며, “존재와 함께 그 특성을 함께 규명했기 때문에 호흡기 점막 면역을 강하게 유도하는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중요한 기반 지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초과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IF 14.7)’에 게재됐다.


한편 코로나19에 걸렸다 회복하면 기억 T 세포가 생성된다. 기억 T 세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면 반응해 코로나19가 중증으로 발전하는 위험을 막는다.


이러한 기억 T 세포의 생성과 역할 등을 밝힌 연구는 대부분 혈액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코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처음 침입하고 증식하는 기관이지만 코 조직에 존재하는 기억 T 세포에 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또 현재 활발하게 접중 중인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반 백신이 코와 같은 호흡기 점막에 기억 T 세포를 유도하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39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