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첫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 양극성장애 재발률 1/3로 감소 확인 - 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우영섭 교수팀
  • 기사등록 2024-05-22 20:14:00
기사수정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 사용이 양극성장애의 재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국내 처음 발표됐다.


양극성장애 환자에게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메인테나)를 사용한 경우, 재발률이 1/3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원명·우영섭 교수팀은 전국 12개 병원에서 경구 약물로 치료를 받고 있는 78명의 양극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를 추가 투여 후, 이전 1년간과 투여 이후 1년간의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조증 삽화는 1년간 평균 0.8회에서 0.2회로, 우울 삽화는 0.5회에서 0.2회로 감소했다. 


1년간 재발을 경험한 환자 비율은 투여 이전 1년간 81.3%에서 28.0%로 약 1/3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복용하고 있는 경구 약물의 개수가 6.5개에서 3.6개로 유의하게 감소했고, 3가지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복잡 병합 요법을 받는 환자수도 78.7%에서 37.3%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우영섭 교수(제1저자)는 “많은 양극성장애 환자가 약물 복용에 어려움을 겪고, 그 결과 재발을 하는 경과를 보이는 데,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가 이러한 점에서 양극성장애 환자의 유지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박원명 교수(교신저자)는 “이번 연구는 양극성장애 환자의 장기적 예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재발률을 장기 지속형 주사제로 급감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는 경구로 복용해야 할 약물의 수를 대폭 줄여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높이고, 안정적으로 치료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양극성장애를 포함한 기분장애 분야 최고의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IF 6.6)’ 2024년 4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양극성장애(조울병)는 조증/경조증 삽화, 우울 삽화, 혼재성 양상 등 경과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불충분한 치료시 2년 이내에 40~75%가 재발하는 등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 


양극성장애가 자주 재발하는 경우 회복이 더욱 어렵고, 뇌에 변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재발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장기간 약물 복용이 필수적이지만, 매일 약물을 복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적정 용량을 복용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하여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1회 주사로도 4주간 약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아리피프라졸(비정형 항정신병약물 계열) 장기 지속형 주사제가 조현병 뿐 아니라 양극성장애 유지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2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