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가 6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했다.
이번 평가는 신규 확진자 증가, 위중증 및 사망자 수 증감 반복 추세인 상황 등이 고려됐다.
(표)6월 4주차 종합평가 결과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전주와 동일,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비율은 5월 5주 이후 지속 감소했다.
(표)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5.2% 감소하여 일평균 110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5.5% 증가(55명→58명)하였고 일평균은 8명이다.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94명(85.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8명(100.0%)이었다.
6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3%, 치명률은 0.05%이었다.
7월 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9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2.5명(치명률 1.8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4.2명(치명률 0.43%), 60대는 55.6명(치명률 0.11%)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6월 4주(6.25.~7.1.) 주간 신규 확진자는 12만 2,103명으로 전주 대비 8.8% 증가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만 7,44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03이며, 6월 2주 이후 1이하 유지하다 이번에 1이상으로 증가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했다. 발생률은 10-19세(46.9명), 30-39세(40.3명), 70-79세(38.1명) 순으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증가, 비중은 전주 대비 감소했다.
(표)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변이 바이러스
XBB.1.9.1의 검출률은 24.5%(-2.4%p)로 최근 6주간 20%대 중반 유지 중이며, XBB.1.16과 XBB.2.3은 20.8%(+3.2%p)와 14.1%(+1.9%p)로 지속 증가 추세이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