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흉부외과 전문의 10명 중 8명, 외과 전문의 10명 중 5명…전공과 다른 진료 - 일차의료 전공-진료 불일치 전문의, 2018년 대비 2,218명 증가
  • 기사등록 2023-05-02 22:03:30
기사수정

일차의료에서 상근하는 흉부외과 전문의의 10명 중 8명, 외과 전문의 10명 중 5명이 전공과 다른 진료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3월 기준 일차의료 상근 전문의 4만 5,314명 중 1만 2,871명(28.4%)이 전공과 진료 표시과목이 불일치했다.


◆흉부외과·외과 절반 이상 불일치

이는 5년전 1만 563명 보다 2,218명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의 전문과목별로 살펴보면, 흉부외과 전문의 317명 중 81.9%(304명)가 전공과 진료 표시과목이 불일치하며, 전공과 다른 진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비율보다 53.5%p 높았다. 


외과도 2,632명 중 52.1%(1,370명)로 불일치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안과, 피부과, 이비인후과 전문의 전공-진료 불일치 비율 낮아 

안과 전문의는 2,630명 중 1.0%(27명)만이 다른 진료를 하고 있어, 전공과 진료의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이어 피부과 3.4%(67명), 이비인후과 4.7%(153명), 정형외과 6.0%(178명), 성형외과 6.8%(116명)순으로 전공-진료 불일치 비율이 낮았다.[표1]


[표 1] 일차의료 전문의 전공 - 진료 표시과목 불일치 현황

◆불일치 전문의 80% 일반진료 

2023년 전공-진료가 불일치 하는 전문의들의 세부 진료표시과목을 살펴본 결과, 불일치 전문의 1만 2,871명 중 79.8%(1만 275명)가 일반진료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정형외과 4.9%(636명), 내과 4.9%(626명), 성형외과 1.6%(201명), 피부과 1.2%(152명) 순이었다.[표2]


신현영 의원은“병원에서 수술을 해야하는 필수의료 의사들이 현장을 지키지 못하고 단순 진료를 하는 현상이 증가하는 것은 필수의료 붕괴 원인 중 하나이다”며,“이는 피부과, 성형외과 등 인기과목의 전문의들이 본인의 전공 진료를 고수하는 현상과 대비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는 병원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의사인력체계를 수립하여, 일차의료에서는 포괄적, 통합적 진료가 가능한 의사가, 병원급 이상에서는 중증 질환의 전문의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일차의료 전문의 전공-진료 불일치 현황 중 세부 진료표시 과목 현황(23.03)은 (본지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530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