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6년간 대학교 연구실 안전사고 총 1,387건…1명 사망, 피해액 약 16억원 - 교육부·과기부 합동감사 2년간 19건
  • 기사등록 2022-09-23 03:48:30
기사수정

최근 6년간 대학교 연구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총 1,387건이고, 총 1,46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1명은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의원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인명피해와 실험기기 파손 등에 따른 물적 피해액은 총 15억 8,2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사고사례로는 지난 2021년 생태계 조사활동 중 급류에 휩쓸린 배가 전복돼 대학원생 1명이 사망하는 동시에 부상자가 발생했고, 같은 해 실험중이던 대학원생 1명이 메탄올 및 포름알데하이드로 추정되는 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019년 실험중이던 학생 4명이 부상을 입은 경북대 실험실 폭발사고 이후, 2020년 6월에 개정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을 통해 대학교 연구실 안전사고 종합관리 체계가 개선됨에 따른 안전점검이 실시중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단독으로 전국 대학 연구실 전수검사를 위해서는 최소 6년 이상 소요될 전망이며, 여전히 현장과의 괴리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교육부가 2021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대학 연구실 안전관리 합동검사’를 별도 시행하고 있지만, 검사실적을 보면 올해 8월까지 불과 전국 19개 대학교에 그쳤다.


문정복 의원은 “끊이지 않는 실험실 안전사고로 많은 학생과 교원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하루빨리 개선된 안전관리 체계가 현장에서 정착될 수 있도록 교육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198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셀트리온, 아피메즈US, 파마코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⑤]성빈센트, 아주대, 중앙대광명, 서남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