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간 방문간호지시 32% 증가…‘한방과’ 최다 - 지역별로 경기(19.10%)>인천(15.63%)>서울(14.41%) 순
  • 기사등록 2022-06-14 23:28:15
기사수정

최근 5년간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건수가 2017년 1만 1,965건에서 1만 5,786건으로 31.93% 증가했고, 한방과 발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더불어민주당)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건수는 2017년 1만 1,965건에서 2021년 1만 5,786건으로 최근 5년간 31.9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 1] 최근 5년간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현황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가 방문간호지시서를 발급함에 따라 장기요양요원(간호사·치위생사·간호조무사)은 수급자의 가정을 방문해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과 구강위생을 제공한다. 

방문간호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근거로 시행되고 있는 장기요양급여의 한 종류이다(「노인장기요양보험법」제23조).


◆최근 5년간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진료과목

최근 5년간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진료과목을 살펴보면, 전문과목을 표시할 수 없는‘일반의’의 처방과 표방과목이 없는 보건소 등을 제외하고는 ‘한방과’(19.41%), ‘내과’(12.33%) 순으로 발급 비율이 높았다. 


‘한방과’ 발급은 2017년 2,167건에서 2021년 3,069건으로 41.62% 증가했다. ‘한방과’ 방문간호 처방 대상 연령은 10명 중 6명 이상(65.80%)이 80세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표 2,3] 

[표 2] 최근 5년간 진료과목별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현황

[표 3] 최근 5년간 연령별 방문간호 처방 현황(한방과)

◆지역별 격차도 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역별 격차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5년간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19.10%)·인천(15.63%)·서울(14.41%) 순으로 발급 비율이 높았고, 세종(0.26%)·제주(0.79)·충북(1.70)순으로 발급 비율이 낮았다.


◆지역별 방문간호인력 활동 현황

또 지역별 방문간호인력 활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최근 5년간 경기(25.29%)·서울18.85%)·인천(7.39%) 순으로 활동 인력이 많았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절반이 넘는(51.53%) 인력이 활동하고 있고, 비율이 가장 낮은 세 지역(세종·제주·충북)은 4.02%로 나타났다. 

방문간호인력의 활동과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모두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신현영 의원은 “한의사를 포함한 의사들의 지시서가 어떤 처치와 의료서비스로 수급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지 정부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의 데이터가 없어 제도 사각지대인 방문간호 서비스가 악용될 소지가 있는 만큼 올바른 처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제대로 된 평가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013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