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4월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 1만 8,180건 - 소아 26건, 12~18세 1만 8,961건 신고 등
  • 기사등록 2022-04-22 06:44:57
기사수정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에 따르면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59주차, 4.17.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예방접종 1억 2,096만 5,216건 중 이상반응은 46만 6,564건(59주 신규 신고 560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39%이다. 

일반 이상반응은 44만 8,384건(96.1%), 중대한 이상반응은 1만 8,180건(3.9%)이었다.


◆각 부문별 신고율

▲접종차수별 신고율

접종차수별 신고율은 3차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이 1차와 2차에 비해 낮은 수준(1차 0.54%, 2차 0.41%, 3차 0.16%)이다.


▲백신별 신고율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4%(1차 0.75%, 2차 0.28%), 화이자 백신 0.32%(1차 0.41%, 2차 0.36, 3차 0.16%), 모더나 백신 0.46%(1차 0.63%, 2차 0.77%, 3차 0.16%), 얀센 백신 0.59%(1차 0.59%, 2차(부스터) 0.21%)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제외한 모든 백신의 3차 접종이 1차와 2차 접종보다 낮았다. 


▲노바백스 백신

노바백스 백신은 2월 14일부터 접종을 시작해 접종 24만 3,294건 중 이상반응은 543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22%이다. 일반 이상반응 520건(95.8%), 중대한 이상반응은 23건(4.2%)이었다.   


▲소아 이상반응 신고율 0.07%

소아(5~11세) 코로나19 예방접종 3만 9,926건 중 이상반응은 26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07%이다. 

일반 이상반응은 25건(96.2%)이었고, 중대한 이상반응은 1건(3.8%)으로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였으며, 현재 완전히 회복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 이상반응 신고율의 경우 접종건수가 적어 다른 연령대의 신고율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12~18세 청소년 이상반응 신고율 0.31% 

12~18세 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606만 6,324건 중 이상반응은 1만 8,961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31%(일반 이상반응 97.1%, 중대한 이상반응 2.9%)이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주의 사항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피해보상 신청…관할 보건소로 신청

이상반응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는다.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반응을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해 관할 보건소로 신청해야 한다.

(표)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국가 피해보상 절차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했다.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917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