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검사·치료체계를 전환했다.
이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확진자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는 경우 고위험군의 진단과 치료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것이다.
한정된 방역‧의료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PCR검사와 선별진료소는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 △역학적 연관성이 있거나, △의사 소견이 있는 경우, △60세 이상 또는 △자가검사키트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요양병원 등 취약시설 종사자)에 집중한다.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에 해당하지 않는 국민은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에만 PCR검사 대상이 될 수 있다.
◆동네 병‧의원 역할 확대
이러한 검사‧치료 체계 전환을 위해 정부는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동네 병‧의원의 역할을 확대했다.
▲2월 5일 기준 전국 약 2.300곳 동네 병‧의원 참여 신청
우선 음압시설 설치 등 감염 관리와 동선 구분이 완비된 호흡기전담클리닉 중심으로 지난 2월 3일부터 신속항원검사가 전면 시행됐다.
2월 5일까지 호흡기전담클리닉 포함 전국 약 2.300곳의 동네 병‧의원이 참여를 신청했다.
이 중 약 800곳이 검사‧치료를 시작했다.
세부적으로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은 431개소가 참여 예정이며, 2월 5일까지 403개소가 운영 중이다.
나머지 28개 의료기관도 2월 중 순차적으로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 의원)’은 총 1,938개소가 신청했고, 2월 5일까지 482개소가 운영 중이다. 2월 7일부터는 779개소(2월 7일 304개소 추가, 기존 482개소 중 7개소는 중단 의사)가 운영될 예정이다.
▲검사·치료체계 전환…“반드시 필요”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의원) 목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코로나바이러스-19 누리집에 공개되어 있다.
정부는 “검사·치료체계를 전환이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고, PCR검사가 정확도 면에서는 우월하지만,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의 진단과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전환이다”고 밝혔다.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 키트 공급
정부는 신속항원검사 수급 대응 TF를 중심으로 생산·공급·유통 과정 전반에 대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2월 1주차 1,646만 명분 공급 등
2월 1주차(~2.6.) 선별진료소 및 약국, 온라인 쇼핑몰에 1,646만 명분(선별진료소 등 공공 분야는 686만 명분 공급, 약국, 온라인 쇼핑몰 등 개인이 구매 가능한 민간 분야 960만 명분 공급)의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를 공급했다.
2주차에도 약국 및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개인이 구매 가능한 1,000만 명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시장교란 행위 엄중 대응
검사 수요에 충분한 물량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매점매석과 가격교란 등 시장교란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먹는 치료제
▲2월 3일까지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총 1,275명분 투약
지난 1월 14일 국내에서 처음 투약된 화이자사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는 생활치료센터 및 재택치료자를 대상으로 투여대상을 시작했다.
이후 노인요양시설, 요양병원, 감염병전담병원, 호흡기클리닉, 지정 진료 의료기관까지 처방기관 등을 순차적으로 확대했다.
투여 대상 연령도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조정(1.22)하여 2월 3일까지 총 1,275명분이 투약됐다.
(표)공급 대상 기관별 운영 경과
▲2월 7일부터 50대 기저질환자까지 대상 확대
2월 7일부터는 60대 이상, 면역저하자에 더하여 50대 기저질환자[당뇨, 심혈관질환(고혈압 등), 만성신장질환, 만성폐질환(천식 포함), 암, 과체중(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 등] 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정부는 “호흡기 클리닉, 지정 진료 의료기관 등 동네 병·의원 등 기관과 50대 기저질환자까지 대상을 확대함에 따라 의료진에게 치료제 사용지침을 준수하여 적극적으로 치료제를 활용하도록 당부”하였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