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접종 대상이 점차 확대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기본접종과 국내 미승인 백신 접종 등에 대한 추가접종 세부 시행기준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이 주요 연구결과와 국외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세부기준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접종백신
접종백신은 기본적으로 △mRNA 백신을 활용하며, △가급적 동일백신으로, △백신 종류가 2종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예외적으로 △mRNA 백신 금기(기본접종 시, 아나필락시스 등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발생) 또는 연기 대상(기본접종 시, 심근염·심낭염 등 이상반응 발생)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의사 판단 하에 피접종자에게 적합한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또 △얀센백신 기본접종자 중 희망자는 얀센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
◆접종용량
접종용량의 경우 모더나 백신을 활용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용량의 절반(0.25㎖, 항원량 50㎍)으로 시행한다.
美FDA의 경우 모더나 백신 기본접종은 0.5㎖(100㎍), 추가접종은 0.25㎖(50㎍)으로 승인했다.
그 외 백신은 기본접종과 동일한 용량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접종간격
접종간격은 원칙적으로 기본접종 완료 6개월이 지난 후부터, 가급적 8개월 이내에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다만 국외 출국, 질병 치료 등의 사유가 있을 경우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을 기준으로 4주 전부터 추가접종이 가능하다.
예외사항으로 △면역저하자는 기본접종으로 면역형성이 불완전하고, △얀센백신 접종자는 돌파감염 발생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해 기본접종 완료 2개월 이후부터 추가접종을 권고한다.
◆기본접종 유형별 추가접종 실시기준
(표)추가접종 실시기준
□ (기본접종)AZ 백신 2회 또는 AZ-Pf 교차접종 ⇒ (추가접종)mRNA 백신 ㅇ AZ 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으로 추가접종 ㅇ AZ-Pf 교차접종자는 가급적 화이자 백신으로 추가접종 권고 □ (기본접종)mRNA 백신 2회 ⇒ (추가접종)mRNA 백신 (동일백신) ㅇ mRNA 백신 기본접종자는 기본접종과 동일백신* 추가접종 권고 * 단, mRNA 백신 간 교차접종도 가능 □ (기본접종)얀센백신 1회 ⇒ (추가접종)mRNA 백신 (단 희망자는 얀센백신 가능) ㅇ 얀센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을 기본으로 하되, 희망자의 경우 □ (기본접종)국내 미승인 백신 중 WHO 승인 백신 ⇒ (추가접종)mRNA 백신 ㅇ WHO 승인 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으로 추가접종 * WHO 미승인 백신 기본접종자는 추가접종 대상에서 제외 |
정은경 단장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료기관에서는 모더나 백신의 추가접종 용량이 기본접종과 상이함에 따라, 접종 전 대상자, 백신 종류 및 접종 차수 등을 철저히 확인하여 안전한 접종을 실시하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표지메인사진 :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