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백신별 신고율…얀센 0.60%, 화이자 0.33%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이 9월 12일 0시 기준으로 발표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8주차, 9.12. 0시 기준)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전체 예방접종 5,183만 2,703건 중 이상반응은 21만 5,501건(28주 신규 신고건수 2만 3,649건)이 신고돼 신고율은 0.42%(1차 0.49%, 2차 0.29%)이다.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8%(20만 6,395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2%(9,106건)이었다.
백신별 신고율은 얀센 백신 0.60%, 모더나 백신 0.56%(0.53%, 0.64%),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49%(1차 0.73%, 2차 0.19%), 화이자 백신 0.33%(1차 0.32%, 2차 0.36%)이었다.
(그래프)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2.26.-9.11.)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은?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은?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 증후군 의심증상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①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②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③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길랑-바레 증후군 의심증상】 ①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 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위와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