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에 따르면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9월 19일 0시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0.42%(1차 0.48%, 2차 0.32%)이다.
이는 전체 예방접종 5,718만 5,164건 중 이상반응은 24만 2,656건(29주 신규 신고건수 2만 7,164건)이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9%(232,716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1%(9,940건)이었다.
백신별 신고율은 얀센 백신 0.58%,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1%(1차 0.73%, 2차 0.22%), 모더나 백신 0.51%(1차 0.44%, 2차 0.80%), 화이자 백신 0.35%(1차 0.35%, 2차 0.35%)이었다.
(표)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2.26.-9.18.)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또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특히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거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에는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야 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