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변이바이러스 해외 입국자 시설격리 기간이 일주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 델타(인도) 변이바이러스는 알파(영국) 변이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1.6배, 입원율도 2.3배 정도 높기 때문에, 전 세계가 다시금 봉쇄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기윤(국민의힘 경남 창원시 성산구)간사가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변이발생국별 격리조치 지침’자료에 따르면 델타변이 발병국인 인도발 해외 입국에 대해 일주일간 시설격리를 한 뒤 남은 일주일은 자가격리키로 했다.
반면에 남아공·탄자니아발 해외 입국자에 대해서는 14일간 시설격리를 하고 있다.
남아공·탄자니아의 해외 입국자와 달리 인도에서 들어오는 해외 입국자에 대해 2주간 격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질병관리청은 “시설이 부족해 일부 입국자는 자가격리를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만 지난 한 주(6.20~6.26)간 변이바이러스 환자가 267명이 발생했고, 그 중 델타바이러스 환자는 73명이다.
변이바이러스는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두 배가 높고, 감염됐을 경우 복통과 메스꺼움, 구토, 청력, 상실, 관절 통증 등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강기윤 의원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며, “국민 안전을 위해서라도 변이바이러스 발병 국가의 입국자에 대한 방역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