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만성질환 있는 20대, 심방세동에 걸릴 위험 UP…새 심방세동 위험 예측 계산법도 제시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종일 교수팀
  • 기사등록 2020-06-09 00:39:22
기사수정

젊은 나이에 만성질환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여겨졌던 기존의 추측을 뒤엎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
유전이나 가족력이 없는 20대도 만성질환이 있으면 심방세동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것이 규명됐다. 젊은 나이고 유전성이 없을 지라도 만성질환에 의해 심장세동의 위험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팀(김윤기 교수, 숭실대학교 통계학과 한경도 교수)은 전국의 성인 남녀 979만 7,409명의 기록을 약 8년간 추적한 빅데이터를 통해 연구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인 당뇨, 고혈압, 비만, 허리둘레, 흡연 등은 나이에 상관없이 심방세동 발병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 허리둘레, 신장질환, 당뇨 등 여러 만성질환이 젊은 층에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당뇨는 젊은 층에서 큰 영향이 있고 고혈압은 전 연령대에 걸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가 있는 20대는 남성의 경우 2.46배, 여성의 경우는 2.06배 위험도가 높았고, 고혈압이 있는 20대 남성은 1.55배, 여성의 경우 2.52배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일 교수는 “심방세동은 전 연령층에서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이다”며, “심방세동의 비유전적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성별과 나이를 제외한 음주, 흡연, 비만 등은 모두 노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요인들이다. 때문에 젊더라도 방심하지 말아야 하며, 음주와 흡연은 줄이고 정상 체중과 정상 혈당 등을 유지하면서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심방세동 위험 예측 계산법도 만들었다. 이 계산법에는 나이와 성별을 포함해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요인들이 총체적으로 담겼다.
0점에서 시작해 위험요인에 가점을 부과하여 최대 15점까지 표현할 수 있으며 숫자가 높아질수록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최 교수는 “계산법을 응용해 자신의 심방세동 위험도를 간단히 예측하고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적극적인 심장검진을 통해 치명적인 심방세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Non-genetic risk factors for atrial fibrillation are equally important in both young and old ag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는 유럽 심장병학회(ESC)의 공식 학술지 유럽예방심장병학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게재되며, 유럽과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그 동안은 심방세동이 나이가 많고 당뇨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발병한다고 보았다. 젊은 나이에서 발생할 때는 대부분 유전성이나 가족력 때문이라고 생각해왔다.
심방세동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관심이 많은 질병이다. 심방세동은 발병 시 삶의 질이 다분히 저하될 수 있고 허혈성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 울혈성 심부전을 비롯하여 각종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발병 요인에 대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598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