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동양인 대상 최초 급성심장마비 예측도구 검증결과 발표…5년 내 확률 -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비후성심근병증 환자 700여 명 임상결과 활용
  • 기사등록 2019-10-31 08:46:26
기사수정

동양인 대상 최초의 급성심장마비 예측도구 검증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심장학회는 지난 2014년 비후성심근병증 환자가 5년 내 급성심장마비가 올 확률을 계산하는 도구를 개발했으며, 그 이후 세계 각국에서 이에 대한 적합성 평가가 진행됐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사진 왼쪽) 교수(최유정 전임의),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이상철(사진 가운데) 교수는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증결과를 지난 10월 30일 발표했다.

교수팀은 비후성심근병증 환자 730명의 심장마비 발생여부를 5년 이상 추적·관찰했다. 개발된 도구에 따라 저위험군(615명), 중등도위험군(65명), 고위험군(50명)으로 분류된 환자 중, 심장마비를 경험한 환자는 각각 7명(1.1%), 3명(4.6%), 6명(12%)이었다. 고위험군일수록 심장마비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개발도구는 한국인 비후성심근경증 환자의 심장마비를 예측하는데 유용했다.

(그래프) 위험군 별 급성심장마비 확률

교수팀은 평가도구의 한계도 지적했다. 비록 낮은 확률(1.1%)이지만, 급성심장마비를 경험한 환자 7명이 저위험군으로 분류된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 오류의 원인은 성별이었다. 실제 여성이 남성보다 비후성심근병증 예후가 나쁘다. 이를 고려한다면 더 정교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는 동양인만을 대상으로 진행한 최초의 연구다. 각국에서 기존 도구의 적합성을 검증했지만 주로 서양 중심이었다. 동양인과 서양인 임상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김 교수는 “현재 사용되는 유럽진료지침은 유용한 면이 있지만 우리나라 환자에게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며, “한국인 비후성심근병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잘 이해하고 포괄적인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의학저널(BMJ, British Medical Journal) 심장학회지(Heart)’ 최근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 대한 심장학회지(Heart) 편집위원의 논평도 함께 게재될 예정이어서 높은 관심이 반영됐다.

한편 비후성심근병증이란 대동맥판 협착증, 고혈압 등 특별한 증세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이다. 이때 심장 이완기에도 좌심실에 혈액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다. 몸으로 내보내는 혈액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심부전이나 심한 경우 심장마비에 이를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299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