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지방비만인 사람이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가운데, 치료예후도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순환기내과 임홍석 교수는 심혈관질환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 441명을 대상으로 △ 총체지방 △ 부위별(팔, 다리, 몸통 등) 체지방 △ 총체지방과 부위별 체지방의 비율을 측정하고 시술 후 5년간의 주요 임상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지방이 복부(몸통)에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환자군이 가장 낮았던 환자군에 비해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률이 약 1.8배 더 높게 나타났다.
또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과는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임홍석 교수는 “체질량지수는 체중과 신장(키) 만을 이용한 단순 계산식[BMI=체중(kg)÷키(m2)]이기 때문에 지방, 근육 등을 구분하여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며, “예를 들어 바디빌더는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은 적지만, 체질량지수로 평가하면 ‘비만’에 해당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 뿐 아니라 새로운 비만 평가법으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를 이용해 지방, 근골격조직 등을 구분하여 측정했다.
임 교수는 “다른 부위보다 복부(몸통)에 지방이 있으면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심장혈관질환의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많은 환자들이 받고 있는 스텐트 시술 즉, 심혈관 중재시술 후 예후도 좋지 않은 것으로 이번에 확인했다”며, “심장혈관질환의 예방 뿐만 아니라 시술 후 심장건강을 위해서도 특히 복부에 지방을 줄이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 “비만을 단순히 체질량지수 만으로 평가하는 것 보다 우리 몸 부위별로 지방, 근육량 등을 세부적으로 측정하여 건강관리에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8년 5월 PLOS ONE에 ‘Impact of body fat distribution on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drug-eluting stent implantation(체지방분포가 약물방출스텐트 시술 후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주요 심혈관 사건이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재시술, 비치명적 심근경색 등으로 정의했다.
이중 에너지 엑스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는 X선 투과도가 조직에 따라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법이며, 2종류의 다른 에너지를 갖는 X선을 조사해서 부위별로 지방, 뼈, 근육 등을 정량적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