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혈액방사선조사기 총 54대…교체 시급 - 세슘 유출과 피폭 위험 있는 감마선식, 제조년도 10년 이상 76%
  • 기사등록 2018-10-10 01:18:28
기사수정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하는 국내 혈액제재 방사선 조사기의 교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유는 모두 세슘을 사용한 감마선식 조사기라는 점과 제조년도가 10년 이상된 장비가 약 76%로 노후도가 심각해 안전에도 큰 위협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바른미래당 간사)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등록되어 사용되는 혈액방사선조사기는 총 54대로 전부 감마선식 혈액방사선조사기이다.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혈액방사선조사기 모델은 IBL437C, Gammacell 3000 Elan, BIOBEAM 8000, J.L blood irradiator 등이다. 하지만 이들 모두는 세슘을 사용한 혈액방사선조사기로, 이에 대한 유출과 피폭에 대한 위험성이 언제나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는 것.


실제 1985년 브라질 고이아니아에서는 방사선 치료장비 내부의 세슘이 유출되어 249명이 오염진단을 받고 111명이 사망하는 엄청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외국의 경우 세슘의 위험성으로 인새 감마선식 대신 X-ray를 사용(Non-radioactive resource of X-ray)하는 혈액방사선조사기로 교체중이다. 캐나다와 독일, 이탈리아는 90년대부터 정부가 나서서 세슘을 사용한 혈액방사선조사기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프랑스와 노르웨이도 모든 방사선 조사기를 non-radioactive 대체 장비로 교체중이다. 

또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로 세슘의 일본 내 반입을 금지하여, 혈액방사선 조사기 80% 이상을 X-ray 방식으로 전환했다.


국내 54대 방사선 조사기 중 76%(41대)가 제조된 지 10년 이상 지난 노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도자 의원은 “세슘은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외국에서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며,  “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안전한 X-ray식 혈액방사선 조사기로 교체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혈액방사선조사기의 대부분이 제조된지 10년 이상된 노후된 기기이다”며, “안전과 더불어 조사의 정확성을 위해서라도 기기의 교체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식편대숙주병은 수혈한 혈액 내 T-림프구가 수혈받은 환자의 정상조직을 공격하는 것으로 발병률은 0.5% 미만이지만 치사율은 100%로 현재까지 치료방법은 없으며 사전 예방만이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7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dd>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