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 이중 항혈소판제 지속적 치료…심근경색 재발 감소 - 삼성서울병원 권현철·한주용·송영빈 교수팀
  • 기사등록 2018-03-26 21:12:20
기사수정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 기간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 내과 권현철, 한주용, 송영빈 교수팀은 2012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국내 31개 기관에서 스텐트 시술을 받은 2,712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 기간을 비교한 전향적 무작위 배정 연구를 진행했다.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를 12개월 이상 시행하는 것이 6개월만 시행하는 것에 비해 심근경색의 재발 위험을 유의하게 낮춘다는 결과를 보고했다. 출혈의 위험은 의미 있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향후 국내외 주요 가이드라인에 중요한 근거로 인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주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심장내과 의사들에 의해 큰 관심과 호평을 받았다”며,“아직까지 논란이 많았던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증거를 제시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들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3월 12일 미국심장학회 ‘Late Breaking Clinical Trial(가장 주목을 받는 대규모 연구)’ 세션에서 권현철 교수가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의학계의 가장 권위 있는 저널 중의 하나인 Lancet (Impact factor 47.831)에 ‘6-month versus 12-month or longer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SMART-DATE): a randomised, open-label, non-inferiority trial’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동시에 게재됐다. (공동 제1저자: 한주용, 송영빈 교수, 교신저자: 권현철 교수).


한편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는 사망과 심근경색의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초기에는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를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아스피린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의 적정 기간에 대한 확실한 연구 결과가 없었다.


치료 기간이 너무 짧으면 심근경색의 위험이 증가하지만 장기간 치료는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안정적인 협심증 환자에서는 적정기간이 12개월에서 6개월로 심장학회 권고사항이 개정된 바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77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