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국대병원 천영국 교수, 대한소화기학회 학술지 공로상 수상 - 췌담도 분야, 최다 인용 논문 선정
  • 기사등록 2017-10-24 00:48:52
  • 수정 2017-10-24 00:51:05
기사수정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천영국 교수가 지난 9월 15일 서울대학교 암병원 2층 서성환 홀에서 대한소화기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장과 간(Gut and Liver)’ 으로 공로상과 상금을 수상했다.

학술지 ‘Gut and Liver’ 발행위원회은 2014~2015년 게재 논문 중 인용횟수가 높은 원저를 분야별로 선정한다. 천영국 교수는 췌담도 분야에서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논문은 수술을 할 수 없는 담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항암 요법에 추가로 담도 내 종양을 직접 없앨 수 있는 광역학 치료를 추가한 군이 전신항암제만 투여한 군과 비교해 유의미적으로 생존율이 높아졌다는 내용으로 지난 2016~2017년 췌담도 분야에서 췌다 인용 횟수인 15번을 기록했다.

천영국 교수는 “그동안 수술이 불가능한 담도암 환자의 경우, 치료가 항암제와 방사선에 국한돼 있었다”며, “이번 논문으로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면서 치료법의 변화를 유도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조금이나마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정받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천영국 교수는 건국대병원 내과 과장으로 대한내과학회 간행위원회 위원장과 대한소화기학회 교육연구위원을 비롯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글로벌네트워크 교육이사와 학술부이사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관련해 ‘진행성 담관암 환자에게서 담관 스텐트 시술과 광역학 치료의 장기간 예후(Longterm outcome of photodynamic therapy compared with biliary stenting alone in patients with advanced hilar cholangiocarcinoma)’, ‘진행성 담관암 환자의 광역학 치료의 효과(The role of photodynamic therap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를 비롯해 ‘1차성 담도암 환자에게서 인터루킨-6 검사의 유용성과 광역학 치료에 따른 인터루킨-6의 농도변화(Diagnostic utility of interleukin-6 (IL-6) for primary bile duct cancer and changes in serum IL-6 levels following photodynamic therapy)’ 등 다수의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877373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