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대안암병원 전상호 교수팀, 시린이 극복 치료제 개발 - 와인, 해조류, 과일, 식물 등의 원재료 사용으로 인체 무해
  • 기사등록 2015-06-05 12:13:02
  • 수정 2015-06-05 12:14:06
기사수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 전상호 교수팀이 서울대학교 치과 생체재료과학교실 안진수 교수 및 POSTECH(포항공과대학교)환경공학부&융합생명공학부 황동수 교수와 공동으로 해조류와 과일 등에 주로 들어있는 물질을 이용한 ‘시린이 치료제’를 개발했다.

교수팀은 해조류나 와인, 과일, 식물 등에서 공통으로 찾을 수 있는 탄닌이라는 화학성분이 체내에 존재하는 철과 결합해 치아 외벽의 단백질을 생성하는데, 이 단백질이 물 속에서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착안해 치료제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치료제는 단시간에 손상된 치아의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재생효과까지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교수팀은 타닌과 철이온을 결합시킨 화합물질이 치아의 표면에 단 5분 만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이 코팅막이 침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성분과 만나 골질을 형성하여 시린이를 느끼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 표면을 재생시키는 효험까지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5-3.jpg

전상호 교수는 “이번 치료제는 와인, 초콜릿, 해조류와 같은 식품에서 원료를 얻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여 치약 및 가글과 같은 생활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POSTECH 황동수 교수는 “코팅이 오래 유지되고 칫솔질을 해도 벗겨지지 않아 지속성이 뛰어나다. 또 처치 방법도 쉬워 환자들이 손쉽게 집에서 활용이 가능해 시린이의 보편적인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해양생명공학기술사업의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기술개발’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그림]
5-2.jpg

치료를 목적으로 발치된 치아를 확보하고, 치아 샘플 상아질에 존재하는 상아세관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상면도와 단면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2-5 μm 직경을 가지고 있고 나란히 수직으로 놓여있는 상아세관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발명품 타닌-철 착화물을 이용하여 상아세관을 코팅하고 인공타액을 흘려준 결과 표면이 완전히 봉쇄되고 골(骨)질이 재생되어 시멘트질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347381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dd>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