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영양소 정보 업데이트 순차적 공개 - 23종의 영양소 정보 업데이트 및 48종의 새 영양소 정보 산출
  • 기사등록 2024-05-13 19:27:53
기사수정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이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이하 ‘KoGES’) 영양조사에 관한 소개와 영양데이터베이스(이하 ‘DB’) 업데이트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전문 학술지에 발표하고, 업데이트 된 영양소 정보를 순차적으로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KoGES는 당뇨,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유전·환경적 요인 및 상호작용 규명을 위해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구축·운영하고 있는 장기 추적 코호트 사업으로, 약 23만 5,000명을 모집해 기반 조사를 실시한 후 현재까지 20년 이상 추적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식이 요인과 만성질병과의 연관성 규명을 위하여 영양 자료를 수집 및 영양성분 DB를 구축해 총 23종(에너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칼슘, 인, 철, 칼륨, 비타민A, 나트륨, 비타민B1, 비타민B2, 니아신, 비타민C, 아연, 비타민B6, 엽산, 레티놀, 카로틴, 회분, 섬유, 비타민E, 콜레스테롤)의 영양소 정보를 국내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약 230편 이다.


이번에 갱신한 KoGES 영양 정보는 농촌진흥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국외 영양성분 자료원을 활용하여 업데이트한 것이다.

(그림)KoGES 영양조사 및 영양성분 DB 업데이트 방법

기존의 23종의 영양소 정보를 갱신하고, 연구자 수요도 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추가로 48종(지방산 30종, 식이섬유, 비타민D, 비타민 B12 등)의 영양소 정보를 새롭게 산출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그간 KoGES 영양자료의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었지만, 최신의 영양성분 DB로 갱신하여 한국인의 식이섭취량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질 높은 영양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식이 요인에 따른 한국인 맞춤형 만성질환 예방 관리 근거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KoGES 영양성분 DB 업데이트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에 온라인 게재(4.2)됐다. 

갱신된 23종의 영양소 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분양받을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02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