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치과에 대한 모든 것]임플란트, 유형별 종류와 알아두면 도움되는 Tip
  • 기사등록 2024-04-15 11:10:02
기사수정

치아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돕고,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서 반드시 없어서는 안되는 구성요소인 것과 함께 첫 인상을 결정하는 미용적인 역할까지 수행하는 곳이다. 


치아가 손상이 되거나 상실된다면 심미적인 문제와 함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다 보니 우리 건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 ‘임플란트’ 심미적·기능적 개선 기대 

충치가 심해져 자연치아를 살릴 수 없는 상황이거나, 잇몸 질환 혹은 외상 등으로 인해서 치아 상실이 일어난 경우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임플란트’ 수술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존하는 치료 중 자연치아와 기능, 모양이 가장 흡사한 치료 방법으로 심미적 및 기능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동탄 연세선이고은치과 신문영(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회원) 대표원장은 “임플란트는 치아가 상실된 위치에 정확하게 식립을 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내비게이션 임플란트의 경우 최첨단 3D 컴퓨터 모의수술을 하여 최상의 수술 방법을 결정하고, 최소 절개를 하여 정확한 위치에 오차 없이 식립을 하게 된다.”라며, “고령 환자부터 당뇨, 고혈압 등 전신질환이 있는 이들도 치료가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앞니 상실시 

정면으로 보이는 앞니가 상실됐다면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고려해 꼼꼼한 앞니 임플란트를 진행해야 한다. 


앞니는 기능적인 역할도 매우 중요하지만 식사를 하거나 말을 할 때 가장 많이 보이는 치아이기 때문에 주변 치아와 크기, 색상을 최대한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문영 원장은 “내비게이션 임플란트로도 앞니 임플란트를 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식립 위치와 경로를 찾아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치아 대부분 손실된 경우  

만약 치아가 하나만 상실이 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개, 혹은 대부분이 모두 손실된 경우에는 전체 임플란트를 해야 한다. 


신문영 원장은 “주변 치아가 없기 때문에 위아래 치아의 맞물림을 새로 형성, 저작과 외모를 자연스럽게 변화 및 개선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순간부터 최종의 결과까지 고려한 탑-다운 치료 계획을 정확하게 세울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뼈이식 임플란트

난이도가 높은 뼈이식 임플란트는 치아 주변 염증으로 잇몸뼈가 녹아 사라진 상태에 할 수 있다. 


신문영 원장은 “잇몸뼈가 충분히 남아있다면 뼈이식이 필요 없지만, 대부분 녹은 경우라면 치조골 이식 수술을 먼저 한 뒤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재수술 임플란트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기거나 흔들릴 경우, ▲보철물이 파절이 된 경우, ▲임플란트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많이 끼는 경우에는 재수술이 불가피하다. 


재수술 임플란트는 첫 수술보다 더 정확하게 진단, 철저한 원인 분석을 하여 다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식립을 진행해야 한다. 


신문영 원장은 “임플란트는 개개인마다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 철저한 수술 계획을 수립해 정확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풍부한 임상 경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의료진과 상담하여 진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050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삼성바이오에피스, 헤일리온,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