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 행복기대여명 실제 기대여명 50% 수준…40대 이하 생활만족도 50% 이하 - 한국방송통신대 윤병준 교수, 성인 1000여명 분석 결과
  • 기사등록 2018-03-21 01:01:46
기사수정

한국인의 행복기대여명(happy life expectancy)이 실제 기대여명의 50∼60% 수준이며, 40대 이하 생활만족도 50%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행복기대여명은 여성이 남성보다 1∼2년 길었다.  


2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한국방송통신대 환경보건학과 윤병준 교수가 2016년 성균관대 서베이 리서치 센터에서 실시한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에 참여한 성인 1041명의 생활만족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행복기대여명은 20∼24세에서 남성 33.1년, 여성 34.7년, 40∼44세에서 남성 23.8년, 여성 26.1년, 60∼64세에서 남자 14.1년, 여자 16.2년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행복기대여명이 남성보다 다소 길었다. 20대 초반 청년기엔 남녀의 행복기대여명 차이가 1.7년이었으나 50대 초반엔 2.3년으로 격차가 벌어졌으며, 60대 초반에선 2.1년으로 차이가 줄어들었다. 


행복기대여명 산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만족도율이 젊은 연령층인 40대 이하에선 50% 이하였다. 고연령층에서 오히려 생활만족도율이 더 높았다. 


윤 교수는 논문에서 “젊은 세대의 생활만족도율이 낮은 것은 현재의 어려운 경제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며, “고연령층의 생활만족도율이 의외로 높은 것은 생활만족도에 대한 기대치 자체가 낮기 때문이다”고 해석했다. 


행복기대여명이 전체 평균여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24세에서 남성 55.3%, 여성 52.8%, 40∼44세에선 남성 59.0%, 여성 56.4%, 60∼64세에선 남성 62.8%, 여자 59.8%였다. 


윤 교수는 논문에서 “조사시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기대여명 대비 행복기대여명 비율이 미국인은 87∼92%였지만 한국인은 54∼64%로 상당히 낮았다”며, “한국인의 기대여명 대비 행복기대여명의 비율이 낮은 것은 행복감·안녕감에 대한 인식도가 서양인에 비해 매우 보수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호에 ‘생명표기법을 활용한 행복기대여명의 산출’라는 내용으로 소개됐다. 


한편 행복기대여명은 인생에서 행복한 삶이 현재부터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69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권순용 회장 “노인의학 다학제 진료 수가 신설 등 필요”
  •  기사 이미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4춘계학술대회 첫 지방 개최…약 600명 참석
  •  기사 이미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서울국제학술대회 개최…25개국 600명 이상 참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