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일자목증후군’ 중년 5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는? - 최근 5년간 일자목증후군 질환 30만 명 증가…남 116만 3천 명, 여 153만 3천 명
  • 기사등록 2018-02-26 01:52:37
기사수정

최근 5년간 일자목증후군 질환자가 약 30만 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50대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5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이장우 교수는 “일자목증후군은 잘못된 자세와 동작이 원인이 되고 이러한 요소들이 장기간 축적되어 골격의 변형까지 일으키는 질환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게 된다”며, “게다가, 나이가 들면서 목 주변 근육의 근력이 약해지고 척추에도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증에도 취약하게 된다. 하지만 근래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발생 연령이 점차 젊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자목증후군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점에 대해 “목 부위 통증뿐 아니라 두통이나 어깨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고, 나이가 들면 구조물들의 비가역적 변화를 야기하고 통증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목 척추나 디스크 등의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여 추간판탈출증이나 심한 경우 경추척수증과 같은 신경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2016년 ‘일자목증후군’ 질환으로 진료 받은 전체인원은 2011년 239만 7,000명에서 2016년 269만 6,000명으로 연평균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6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6만 3,000명, 여성 153만 3,000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6,069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 4,55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50대(64만 3,000명, 23.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6만 5,000명, 21.0%), 30대(41만 2,000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50대(24만 8,000명, 21.4%)가 가장 많았고, 40대(23만 9,000명, 20.6%), 30대(20만 2,000명, 17.4%) 순이며, 여성은 50대(39만 4,0000명, 25.7%)이 가장 많았고, 40대(32만 5,000명, 21.2%), 60대(23만 5,000명, 15.3%) 순으로 조사됐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60대가 6462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이상 6025명, 50대 5986명 순이며, 여성은 50대 961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8820명, 40대 7617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2016년‘일자목증후군’연령대별/ 성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일자목증후군’ 질환의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 3,327억 원에서 2016년 4,412억 원으로 1,085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5.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일 기간에 입원 진료비는 793억 원에서 903억 원으로 연평균 2.6% , 외래 진료비는 2534억 원에서 3510억 원으로 연평균 6.7% 증가했다.


한편 일자목증후군이란 앞으로 목을 길게 빼는 자세 때문에 정상적인 경추만곡인‘C’자 형태의 경추 정렬이 소실되어 생기는 증상아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32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