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저소득 여성 인공중절률, 소득 중간 이상 여성 1.5배 - 울산대 의대 조민우 교수팀, 의료급여·건강보험 대상 임신부 비교 결과
  • 기사등록 2018-01-18 23:53:20
기사수정

저소득층인 의료급여 대상 여성 임신부의 인공중절률이 건강보험 가입 여성 임산부보다 1.5배에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급여 대상 여성 임신부의 제왕절개율은 약 50%에 달했다.


1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울산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조민우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의 2010년 1년간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해 의료급여 대상 여성(저소득)과 건강보험 대상 여성(중간 이상 소득) 등 총 45만 7,336명의 임신 관련 각종 지표와 합병증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저소득층인 의료급여 대상 임신부의 경우 29.4%가 부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소득이 중간 이상인 건강보험 대상 임산부의 11.4%가 부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는 것에 비해 2.6배나 높은 수치다. 


조 교수팀은 논문에서 “우리나라는 전(全)국민의료보험 시스템을 채택해, 모든 국민이 건강보험(NHI) 아니면 의료급여(MA) 대상이다”며, “정부가 2008년부터 모든 임신 여성의 산전 관리에 대한 재정 지원을 하고 있어, 이론적으론 경제력에 관계없이 모든 임신부가 산전 관리를 받을 수 있는데도 소득에 따라 산전관리 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임신부의 사회·경제적 지위 차이는 인공중절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의료급여 대상 임신부의 인공중절률은 30.1%로, 건강보험 대상 임신부(20.7%)보다 약 1.5배 높았다. 


임신부가 속한 가구의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임신중독증(임신과 관련된 고혈압성 질환)·산후 출혈·조산(早産) 비율을 보였다. 


의료보호 대상 임신부의 임신중독증 발생률은 1.5%로, 건강보험 대상 임신부(0.6%)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산후 출혈 발생률은 4.7% 대 3.9%, 조산율은 2.1% 대 1.4%로 분명한 차이가 났다. 


조 교수팀은 논문에서 “소득이 낮은 의료급여 대상 여성의 인공중절률·제왕절개율·각종 임신 관련 합병증 발생률이 건강보험 대상 여성보다 높았다”며,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등) 보건 당국은 이런 불평등한 결과를 초래한 원인을 찾아내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문 학술지인 국제건강형평성저널(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에 ‘전 국민의료보험 시스템을 갖췄어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임신 결과와 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라는 내용으로 소개됐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7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